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왼손잡이, 척수가 결정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 결정하는 것이 뇌가 아니라 척수라는 연구가 나왔다. 독일과 네덜란드 공동연구팀은 ‘어느’ 손잡이가 될지를 결정하는 유전자가 태아 때 척수에서 발현되며, 자궁에 있을 때부터 비대칭으로 발현된다고 ‘e라이프’ 2월 17일자에 발표했다.초음파검사를 통해 태아 ... ...
- [과학뉴스] 네안데르탈인, 아스피린도 먹었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약 2만8000년 전에 멸종했으며, 현재 화석으로만 흔적이 남아 있다. 그런데 최근 호주 과학자들이 네안데르탈인이 사는 곳에 따라 식단이 달랐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3월 9일자에 발표했다.호주 애들레이드대 고대DNA센터의 앨런 쿠퍼 교수와 로라 위릭 박사팀은 네인데르탈인 치아 화석에 남아 ... ...
- [과학뉴스] 봄비가 박테리아 퍼뜨린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빗방울이 토양의 박테리아를 공기 중으로 분산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정영수 숙명여대 기계시스템학부 교수팀은 점토, 모래찰흙, 모래 등 6가지 유형의 토양에 빗방울이 충돌하는 순간을 재현하고 고속촬영기법으로 관찰한 결과, 수 마이크로초(백만분의 1초)의 짧은 시간 동안 빗방울 내 기 ... ...
- [과학뉴스] 알게 모르게 떠나고 있다, 장기이식관광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관련기사를 보시려면?[Issue] 해외 원정 장기 이식, 누가 얼마나? ...
- [그래픽 뉴스] 일곱 개의 새로운 세계가 발견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
- [포커스 뉴스] 손톱만한 USB에 세상의 모든 영화를 담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원자메모리칩, 양자컴퓨터 구현의 출발점연구를 이끈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양자나노과학연구단장(이화여대 물리학과)은 “두 가지 스핀 상태가 공존하는 양자 제어 연구가 진행되고, 원자 하나에 입력된 정보를 좀 더 높은 온도에서도 읽고 쓸 수 있게 되면, 향후 양자컴퓨터의 디지털 정보 저장 ...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남반구 표면 화산분화구인 ‘엑설런스 호수’와 충돌한 뒤 소멸됐다.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보이저 1, 2호, ‘인터스텔라’ 여행길에서 성간구름 만 날 예정’(2017.2)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702N017‘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2016.3) d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이런 음식들을 표준화하기 위해서는 복합 배양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과학자들이 지속적으로 이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 읽을거리Whole-genome de novo sequencing, combined with RNASeq analysis, reveals unique genome and physiological f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연구분야”라고 덧붙였다. +더 읽을거리CM과 LV, 두 가지 장소세포 doi:10.1038/ncomms14531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노벨생리의학상 뇌속의 GPS, 장소세포와 격자세포’(2014.11)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411N00 ... ...
- [Origin] “피해! 독수리가 오고 있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맨서 외 ‘버빗원숭이와 다른 동물의 의미 있는 의사소통’(doi:10.1016/j.anbehav.2013.07.006)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2016.3)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603N044‘십자매는 알고 있다’(2014 ...
이전780781782783784785786787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