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315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시보 효과’ 뇌과학으로 입증
과학동아
l
2016.12.08
GIB 제공 플라시보 효과를 담당하는 뇌 영역이 최초로
발견
됐다. 미국 노스웨스턴 의대와 시카고 재활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퇴행성 무릎 관절염으로 만성 통증을 앓고 있는 환자 17명에게 가짜 약을 처방한 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를 관찰했다. 그 결과 절반이 플라시보 효과를 보이며 ... ...
지긋지긋한 질환 ‘류머티즘’ 원인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7
사실을 알아냈다. 활막세포에 MIF가 결합할 경우 CD44가 공격적인 타입으로 변하는 모습을
발견
했다. 연구진은 류머티즘을 누그러뜨릴 수 있는 치료법도 함께 제시했다. MIF의 활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MIF098’과 ‘MIF020’라는 이름의 화합물을 처리하자 활막세포의 공격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두 ... ...
광고없이 유튜브를 본다? '유튜브 레드' 국내 서비스 시작
2016.12.07
어쩌다가 마음에 드는 음악을 찾으면 ‘
발견
했다’는 생각이 드는데, ‘끝없는
발견
’이라는 표현이 그 느낌을 설명한 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작곡가 김이나 씨는 ‘취향의 집사’라고 설명했는데 딱 어울리는 표현 아닌가요? 최호섭 제공 인터넷 검색으로 시작한 구글이 모바일 플랫폼으로 ... ...
식물이 숨쉬는 과학적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7
교수(IBS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그룹리더)팀은 식물의 기공세포에서 지금까지
발견
하지 못했던 새로운 단백질을 찾아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식물의 기공이 여닫는데 칼슘 농도가 중요하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칼슘채널(단백질로 된 칼슘의 통로)이 열려 공변세포(기공을 구성하는 세포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자기비하 그만! ‘#너그러워지기’
2016.12.06
너그러워진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어떤걸까? GIB 제공 ● 너그러움의 세 가지 요소 Neff가
발견
한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Neff, 2003). 첫 번째는 자신을 향한 친절(self-kindness)이다. 자애로운 사람이라면 힘들어하는 사람을 봤을 때 위로부터 하듯이, 자기 자신을 향해서도 자애로운 마음씨와 친절한 ... ...
착한 사냥꾼이 총을 쏜 이유
팝뉴스
l
2016.12.06
마리를 죽인 것이 아니라 살렸습니다. 사냥꾼은 철사 혹은 전선 더미에 뿔이 엉킨 엘크를
발견
했습니다. 그냥 두면 굶어죽을 것이 분명합니다. 사냥꾼은 조심조심 다가가서 뿔에 엉킨 철사 더미를 쐈습니다. 엘크는 총성과 함께 자유를 찾게 됩니다. 보는 동안 조마조마하지만 완전한 반전을 ... ...
투명한데 휘어지기까지… 신기한 반도체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섞으면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두께의 매우 얇은 반도체 박막이 생긴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이 박막은 그물망처럼 구멍이 많은 구조라 빛을 100%에 가깝게 통과시켰다. 또 DPP2T로만 만든 박막에 비해 구조적 결함이 적어 전류가 4배나 잘 통했다. 기존 반도체 재료인 실리콘은 딱딱하고 불투명해 ... ...
미생물도 살기 어려운 ‘죽음의 바다’ 새롭게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약 1만 배 더 낮았다. 연구팀은 이 지역에 모여 살면서 질소를 분해하는 미생물 군집도
발견
했다. 저산소, 고질소 지역에서 사는 미생물들이 질소를 분해하며 살고 있었던 것. 하지만 이 미생물 군집 역시 점점 낮아지는 산소 농도 때문에 질소분해능력이 상당히 떨어져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
물고기는 어떻게 네발동물로 진화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화석으로 보존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추측했다. 클락 교수는 “이번
발견
은 사지동물 진화 연구에 중대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스코틀랜드 지역 외에서도 사지동물을 찾는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 ...
말라리아는 2000년 전 로마제국 시대에도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해독한 결과, 말라리아 원충의 일종인 열대열말라리아원충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발견
했다. 열대열말라리아원충은 말라리아 원충 중에서도 가장 전염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결과로 얻은 말라리아의 유전 정보는 말라리아의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 ...
이전
779
780
781
782
783
784
785
786
7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