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삑~! 자연재해 경보 발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중심 부근의 풍속이 초속 17m를 넘으면 태풍으로 규정하고 본격적인 감시와 예보를
시작
한다. 자연재해 걱정 없는 그 날까지이제 곧 우리나라에는 태풍의 계절이 돌아온다. 예전에 우리나라에 엄청난 피해를 안겨 주었던 매미나 루사와 같은 태풍이 다시 찾아오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또 지난 ... ...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이공계 재앙인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동시에 과학자인 인재를 양성해 의과학 분야의 전문인을 배출하기 위해 미국에서
시작
됐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의·치의학전문대학원 이공계 재앙인가?넌 유학 가니, 난 유망학과 간다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 ...
名品김연아 회전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반칙의 일종)으로 감점을 당한다.반대로 팔을 너무 늦게 접으면 그 사이 몸은 회전을
시작
해 팔에 걸리는 원심력이 커져 팔을 접기가 어려워진다. 결국 목표한 회전수를 채우지 못한 채 착지를 하면 손과 다리가 늦게 펴져 중심을 잃고 넘어지기 쉽다. 김연아 연기가 아름다운 이유“다른 모든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가운데 4명이 이런 식으로 자연스럽게 독일로 유학을 떠났다. 낯선 외국에서 유학생활을
시작
할 때 고국의 지도교수가 옆에 있으니 학생들로서는 행운인 셈이다.“그런데 2000년 미국의 연구진이 로돕신의 구조를 밝힌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다들 감탄하며 실험을 재현해봤지만 되지 않더군요.”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어떤 원리로 이런 환상적인 구조가 나왔는지 궁금해지더군요. 이때부터 나노막대 연구가
시작
됐죠.” 나노연구를 본격화한 이 교수팀은 반도체 물질인 산화아연(ZnO)이 나노기둥을 만드는 원리를 밝혀냈다. 특정한 온도와 기압에서 석영의 6각 기둥처럼 기둥모양으로 결정을 만드는 게 더 안정하기 ... ...
포자에 꼬리 달거나 돌기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안고 숲속으로 새로운 버섯을 찾아 나서기
시작
하면 늘 마음이 설렌다. 지난해에는 겨울을 준비하는 오대산의 전나무숲길에서 전에 보지 못한 뜻밖의 버섯을 만났다. 갈색 숲속에서 계절을 잊은 듯 푸른빛이 감도는 버섯이 눈에 확 들어왔다. 제법 긴 목을 자랑하는 방귀버섯속의 국내 미기록종인 ... ...
남의 것 흡수하고 소화하면 내 것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Data Assimilation)기술을 접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이 연구는 이론적인 연구에서
시작
해 이상화된 모형을 만든 뒤 실제 자료를 수집해 모형을 검증하는 일이 목표다.자료동화기술은 주로 기후학에서 사용되는데, 확률론적인 성격이 뚜렷한 기후 모델을 측정 자료로 보완하는 기법을 말한다. ... ...
수리공학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발전했다. 수리공학은 1700년대 초뉴턴, 베르누이 그리고 오일러에 의해 체계화되기
시작
했다. 그러나 먼 옛날부터 인류는 물을 더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수리공학 이론을 일상생활에 적용시켜왔다. 고대 4대 문명이 모두 강 유역에서 탄생한 배경은 비옥한 토지에서 농경생활을 ... ...
[생물]혈액형 유전자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따져봅시다. Q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혈액형 성격학은 1927년 일본에서
시작
돼 1980년대 노미 도시타카에 의해 자리잡았다. 그는 수십만 건의 데이터를 분석해 혈액형에 따라 성격이 서로 다르다는 과학적인 결과를 얻었다고 주장한다. 혈액형이 질병과 관련 있다는 주장도 있다. ... ...
미지의 단백질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지식이 부족해 고생했다”며 “1년 동안 혼자 생화학을 공부한 뒤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
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처음에는 서로 다른 영역을 공부하며 힘든 점도 있지만 다양한 전공의 연구원이 모였기 때문에 ‘열린 사고’를 할 수 있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며 “융복합 학문 시대를 ... ...
이전
778
779
780
781
782
783
784
785
7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