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A4 용지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크기의 종이를 반으로
계속
자르다 보면 A1, A2, A3, A4 용지를 만날 수 있다. 이들은 어떤 규칙으로 만들어졌을까.복사용지를 포함해 공문서 등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종이가 바로 A4 용지다. A4 용지의 규격은 297mm×210mm이다. 단순하게 300mm×200mm로 정하면 훨씬 편했을 텐데 왜 이렇게 복잡한 수치가 ... ...
③ 일방적 승리는 없다 절충이 있을 뿐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사람과 더불어 사는 방법을 터득하는 방향으로 진화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그 진화가
계속
된다면 에이즈도 감기 바이러스처럼 사람 사회에 끼어 사는 대수롭지 않은 병으로 남을 수도 있다.절충식 적대관계바이러스는 자신의 생존을 위해 사람과의 다툼이 불가피하지만, 바이러스가 인간을 ... ...
생명의 비밀 밝힌 로제타 스톤,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DNA가 유전물질임을 입증한 것이다. 이처럼 핵산인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연구결과가
계속
나오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과학자들은 여전히 DNA처럼 단순한 물질이 어떻게 복잡한 유전형질을 전하겠느냐며 반신반의했다. 결국 DNA의 구조를 밝혀 복제 메커니즘을 설명할 도리밖에 없게 됐다.1백년만에 ... ...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러시아는 달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N1 로켓과 새로운 유인우주선 개발을 위한 연구를
계속
했다. 달궤도선인 소유즈 LOK와 달착륙선인 LK의 시험도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그리고 1971년 6월 21일 3번째 N1로켓을 발사대에 세웠다. 그러나 30개의 엔진이 점화되고 2백50m쯤 비행했을 때 제어에 문제가 생기면서 ... ...
10대들의 고민 여드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정상으로 돌아오거나 피지선이 안드로겐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시기가 될 때까지는
계속
치료해야 한다. 재발까지도 완전히 막을 수는 없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한다. 여드름을 앓고 난 후의 흉터자국은 나중에 화학박피술이나 레이저 등을 이용해 좋아지게 만들 수 있지만 비용도 많이 들고 100% ... ...
온실효과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지금까지 평균 이산화탄소 증가량(1.5ppmv)의 2배가 된다.온실효과로 지구온난화가
계속
되면 극지방과 고산지대의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할 것이다. 만약 이대로 지구기온이 상승한다면 1백년 후 해수면은 15-95cm 가량 올라간다. 전세계 인구의 20%가 몰려있는 해변이 바닷물에 잠긴다는 뜻이다 ... ...
살균과 소독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신뢰해서는 안된다. 대표적인 예가 리스테리아균. 5℃ 이하의 냉장고에서도 번식을
계속
할 정도로 저온에 강한 특성을 보인다. 반면에 리스테리아균은 열에 약해 65℃이상으로 가열하면 쉽게 사멸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열에 의한 살균이 불가능한 아이스크림의 경우 문제가 된다.초밥을 만들 때 ... ...
동강의 땅 밑이 심상치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그간 안정하다고 여겨진 인근 지역의 단층대가 가까운 과거에 간헐적으로 활동을
계속
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재해를 감소시키는데 신경을 써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렇다면 이 활성단층이 동강댐 건설 예정지역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하지만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1. 포스트 유전자 시대 스타 이건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파악하게 됐다는 것이다. 서울대에서 난자가 배란되는 메커니즘으로 석사학위를 마치고
계속
공부하고 싶었지만 형편이 어려워 86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난다. 그 당시만 해도 미국은 장학제도의 천국이었다. 학비는 물론 조교를 하면서 생활비도 해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텍사스 대학에서 세포의 ... ...
과학자들이 펼친 죽음의 안무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되는 것이 아니라 핵분열로 인해 질량수가 작은 두개의 원소로 변했던 것이다. 게다가
계속
쏟아지는 중성자 때문에 일어나는 연쇄반응은 아인슈타인의 질량 에너지 등가원리(E=mc2)에 따라 엄청난 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 한은 이러한 현상을 발견한 공로로 1944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한이 ... ...
이전
778
779
780
781
782
783
784
785
7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