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제1회 한국과학대상 수상자 김진의 교수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겁니다. 또한 보다 큰 분야로서 우주의 생성과 진화를 다루는 우주론에서 우주공간 내의
물질
분포를 연구하는데도 중요한 도구가 되고 있지요." 우주의 시작은 지금부터 약1백50억년 전의 빅뱅으로 알려져 있다. 1965년 '펜지아스'와 '윌슨'이 발견한 우주의 3K배경복사는 그 유력한 증거.${10}^{32}$K에 ... ...
과학기술계에도 대전환 있어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혹은 몇번째로 무엇을 개발했다는 식의 매스컴보도에도 문제가 많아요. 시험관에서 무슨
물질
을 하나 뽑아낸 것을 가지고는 세계최초의 성공사례 운운 하니까 국민들은 우리나라의 과학이 굉장한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착각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현원복 과학잡지도 큰몫을 해줘야 할텐데 적자를 ... ...
지구의 신비를 파헤치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부분이지만 그 연구방법은 물리학적이므로 물리학의 지식이 절대적이다. 지구를 만드는
물질
이 어떤 것인가를 알기 위하여는 지구화학적 지식이 또한 필요하다. 인류의 복지사회를 건설하는데 필요한 지하자원을 탐사하는데 지구화학은 지구물리학 못지않게 필요불가결하다. ●―「베게너」의 ... ...
초전도현상 컴퓨터개발에 이용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수 있는 기술발전은 앞으로 10년 이내에 이루어지기 어렵다고 예상하지만, 고온 초전도
물질
의 개발이 급속히 발전하는 추세를 감안하면 이 기간은 의외로 단축될 수 있다는 조심스러운 견해도 대두되고 있다.현재 컴퓨터 제조 메이커 중 초전도연구에 열을 올리고 있는 곳은 IBM. 60년대 중반부터 ... ...
블랙홀은 결코 괴물이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초기 은하 형성의 '씨앗'을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관측되지 않는 암흑
물질
(dark matter: 질량을 갖는 뉴트리노는 여기에 해당된다)을 기반으로 한 은하형성이론, 인플레이션 우주초기의 위상적 결함(topological defect)을 이용한 은하형성이론 등 기상천외한 이론들이 난립하여 판정을 ... ...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의해서 습기가 없어지기 때문에 효과가 없어진다. 플래스틱 같은 일부
물질
은 그 구성
물질
이 진공에서는 증발하여 극히 부스러지기 쉬운 상태가 되어 좋지가 않으나 탄소섬유 또한 흑연섬유 계통의 복합재료는 재질과 기계적 특성을 잘 유지한다. 한편 우주공간의 진공은 전기의 절연체 역할을 ... ...
포항공과대학 단숨에 명문으로 떠오르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격상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방사광가속기는
물질
의 원자단위의 미세구조까지 규명해줄 수 있는 첨단시설로서 포항공대 자체의 연구는 물론, 전국의 각 대학 나아가 국내 관련산업계가 공동으로 이용하게 될 것이라는 얘기다. 앞으로 6년간에 걸쳐 제1단계 공사를 ... ...
초전도체의 열풍속에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오존협정에 합의 지난해 세계 우리나라는 우리의 생존을 위협하는 오존층 파괴
물질
인 CFC의 생산을 규제하자는데 합의하여 공해에 대해서는 인류가 공동노력으로 대처한 대해서는 인류가 공동노력으로 대처한다는 훌륭한 선례를 남겼다. 지난 9월 캐나다 몬트리얼에서 유엔 환경계획 주최로 열린 2 ... ...
세계에서 처음으로 실용화 성공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고무로 대표되는 폴리머(Polymer · 고분자
물질
)는 일반적으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이다. 다만 특수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는것 중에는 전기가 통하는것이 있다는 것은 1960년대부터 알려져 있었다. 이런 도전성(導電性)폴리머는 그렇게 주목을 끌지 못했으나 1979년에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의 ... ...
정부와 학계의 견해,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연구력을 분산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물리, 화학연구센터가 각각 반도체 혹은 신
물질
개발에 참여한다는 것은 기존의 전자통신연구소 화학연구소등이 수행하고 있는 개발분야와 중복되기 때문에 결국 국민의 세금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고마는 셈이된다. 또 초전도체나 레이저개발을 ... ...
이전
777
778
779
780
781
782
783
784
7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