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스페셜
"
길
"(으)로 총 1,102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의 보고' 부탄 생물자원 국내서 활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안전관리 경험이 부탄에 공유되고, 부탄의 풍부한 생물자원을 한국이 활용할
길
이 열릴 전망이다. 생명연은 “생명연은 생물자원을 발굴해 고부가가치 제품 상업화 가능성을 확대하고 부탄 농림부는 자국 생물자원 분석과 유전자 변형생물체 안전관리 역량을 강화하는 효과를 보일 것으로 ... ...
비흡연자도 폐암 걸리는 원인 규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생겨난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조기에 폐암 가능성을 진단하고 미리 예방할 수 있는
길
을 열게 됐다. 주 교수는 "암유전체 전장서열 빅데이터를 통해 폐암을 일으키는 돌연변이의 양상을 처음으로 규명했다"며 "흡연과 무관하게 구조 변이를 일으키는 분자를 이해하는 게 다음 연구의 핵심이 될 것 ... ...
호우 단위가 IoT 만났더니…계란의 신선도 실시간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개발됐다. 계란의 신선도를 파악할 수 있어 건강한 계란을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길
이 열릴 것이란 기대를 모으고 있다. 김지영 한국식품연구원 소비안전연구단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계란의 신선도를 예측하고 식품 유통환경 추적하는 ‘스마트 식품 품질유통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9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
2019.05.30
쉽게 풀린다. 마스터키를 찾는 방법을 잘 익히려면 좋은 학원에 가야 한다. 이 규칙에
길
들여지면 세상 모든 문제마다 순식간에 해결해줄 마스터키가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과학도 마찬가지이다. 고등과학원 연구원에게 순식간에 수식을 기대했던 영화 스태프도 그러했을 것이다. 현직 과학자들은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끝)최종 보고서, 코딩교육 정말 필요한가?
2019.05.28
사람은 정작 필자라는 사실이 뼈져리게 느껴졌다. 교육 종료 후 3달 정도 지났다.
길
을 지나가거나 티브이에서 코딩과 관련된 것들이 보이면 매우 반가워한다. 자기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해본 자만이 가질 수 있는 자신감이다. 아이들은 의외로 단순하다. 어떤 기준을 넘기면 자랑하고 싶어 하고 ... ...
몸속 뼈 건강 유지하는 핵심 유전자 발견···골다공증 치료 새
길
동아사이언스
l
2019.05.28
유지하게 하는 핵심 유전자를 발견했다. 골다공증과 같은 질환을 치료할 새로운
길
을 열었다는 평가다. 류제황 전남대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수와 허윤현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은 골 형성 및 흡수 장애를 조절해 골다공증을 막는 치료타켓을 발굴했다고 28일 밝혔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보이지 않는 기술자
2019.05.24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으나,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
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 ...
치매·정신질환 완치의
길
여는 '100번째 뇌'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한국뇌은행 연구원이 포르말린에 고정된 대뇌반구를 들어보이고 있다. 한국뇌연구원 제공. 한국뇌연구원은 한국뇌은행 네트워크를 통해 뇌질환 연구를 위한 ‘사후 뇌기증’이 100증례를 넘었다고 22일 밝혔다. 사후 뇌기증이란 뇌질환 연구를 위해 유족의 동의를 얻어 고인의 뇌를 기증하는 것 ... ...
[2019 ICAN] 장소는 기억의 거점,
길
을 기억하는 세포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이 가운데 GC 세포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길
게 연결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정
길
이 뇌에서 장소 기억 세포의 긴 연결을 통해 기억되고 있는 것이다. 로열 박사는 “결국 (일화적) 기억이라는 것은 뇌의 연결망 매트릭스가 변화한 결과”라고 말했다. 그는 “(신경세포의) 네트워크를 잘 알면 ... ...
[2019 ICAN]“지금은 기술이 뇌 연구의 과학적 발전 이끄는 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20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열린 ICAN학회에 참석한 이진형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뇌공학의 성과가 급격히 나타날 시기가 곧 온다”고 말했다. 윤신영 기자 ashilla@donga.com 뇌 신호 측정 분야에서 세계적인 신진학자로 평가받는 이진형 미국 스탠퍼드대 신경과학연구소 교수는 20일 "그간 오랫동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