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공동사회"(으)로 총 7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동아사이언스 l2011.12.13
- “‘바이오뱅크’라고 들어보셨어요?" 12일 오전 서울 성북구 고려대 안암병원에서 만난 김한겸(56) 병리학과 주임교수(인체유래검체거점센터장)는 처음 보자마자 질문을 던졌다. "미국에선 바이오뱅크 사업을 ‘세상을 바꿀 10대 기술’로 지정하고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죠. 유럽, 호주 등 생명과 ...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동아사이언스 l2011.10.17
- “전 세계에는 약 3만5000여 종의 생물이 있는데 그중 80%에 해당하는 2만8000여 종이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이를 활용하는 해양생명공학이 각광받을 것입니다.” 17일 정부과천청사에서 만난 박광열 국토해양부 해양환경정책관은 “해양의 경우 높은 생물다양성에 비해 연구가 미흡한 측면 ... ...
- “시장에서 필요한 지재권 확보로 바이오 경쟁력 확보해야”동아사이언스 l2011.08.17
- “지식재산 측면에서 연구수준을 평가한다면 연구가 얼마나 창의적인지, 결과를 지식재산화 했는가 두 측면에서 봐야합니다. 이런 기준으로 볼 때 우리나라 연구 수준은 아직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고충곤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지식재산전문위원장(LG전자 상무)는 지식재산이라는 측면에서 우리 ...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동아사이언스 l2011.04.05
- 한국 생명공학(BT) 분야는 최근 산업화 단계에 진입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병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은 “BT 연구성과가 꾸준히 쌓이고 사업화 성과도 늘고 있다. 특히 대기업들이 본격 진출하고 있다”며 “BT는 이제 사이언스에서 테크놀로지를 거쳐 국가 기간산업으로 가는 중간단계에 ... ...
- “BT는 ‘버티기’의 줄임말…대기업이 힘 실어줘야”동아사이언스 l2011.03.07
- “BT(바이오 테크놀로지)는 ‘버티기’의 줄임말입니다. 최소 10년은 기다려야 이렇다 할 성과가 나오죠. 그전까지는 자금력을 갖춘 기업이 연구를 계속할 수 있도록 꾸준히 힘을 보태줘야 합니다.” 성백린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4일 인터뷰에서 “새로운 신약 후보 물질이 실제 약으로 개발되 ... ...
- “아시아 힘 합치면 세계 생물공학 주도할 것” 동아사이언스 l2010.10.19
- “이제 생물공학기술(BT)도 정보통신기술(IT)처럼 세계로 수출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시아 국가들의 상호협력이 절실합니다. 우리나라의 고급 기술력이 인도나 동남아의 풍부한 자원과 만나면 생물공학 분야에서도 새로운 한류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박정극 아시아생물공학연합체 ... ...
- “바이오 연구, 심경법 처럼 농업 혁명 가져올 것” 동아사이언스 l2010.09.07
- “작은 농업 기술 하나가 사회를 변화시켰습니다. (토양을 깊게 가는) 심경법이 농업 증산을 가져와 인구가 늘었으며, 이로 인해 사회가 발전했습니다. 바이오 분야 연구는 이러한 혁명을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농업기술실용화재단 1주년 기념식 행 ... ...
- “미래혁명 BT세상에서 터질 것… IT도움 절실하다” 동아사이언스 l2010.06.07
- 서정선 한국바이오협회자은 “2015년경 개인유전체 분석 1000달러 시대가 오면 바이오 혁명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제공 : 서울의대 “과학과 사회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요. 미래 혁명은 분명 생명공학기술(BT) 분야에서 터질겁니다. 다만 정보기술(IT)과의 접목이 필수적입니다.” 그의 ... ...
- “국토의 64%는 산림, 생명과학 연구의 보고” 동아사이언스 l2010.05.25
- “수목에서 퇴행성 뇌질환 치료에 효과적인 물질을 추출한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오디에서 추출한 물질은 피부 세포 신장효과가 있습니다. 또 헛개나무 성분은 임상 실험을 해보니 간 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더군요.” 정광수 산림청장(57)은 우리가 흔히 접하는 약품, 화장품, 식품 등의 사례를 들면 ... ...
- “국가 R&D 효율 높이기… 정책연구시스템부터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2010.04.05
- 왼쪽부터 정선양 교수, 현병환 센터장, 송종국 선임연구위원, 김정흠 교학처장. 사진 변태섭 동아사이언스 기자 xrockism@donga.com“생명과학 분야 연구개발사업은 축구경기와 같다. 심판(정부)은 경기를 운영하고, 감독(기관장)은 선수를 활용해 좋은 결과를 내야 한다. 지금은 감독이 각 팀의 인선까지 ... ...
이전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