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뉴스
"
하늘
"(으)로 총 1,927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밤 유성우 쇼가 펼쳐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4
전 세계에서 관찰 가능하다. 밤과 새벽시간대에 가장 잘 보이고 쌍둥이 자리가 위치한
하늘
한 가운데를 보고 있으면 관찰할 수 있다. NASA는 겨울철 추위에 대비해 침낭과 담요를 준비하고 도심지역을 벗어나 빛이 별로 없는 시골에서 쌍둥이자리 유성우를 관찰할 것을 추천했다. ... ...
[불붙은 달 탐사 경쟁]② 2024년 누가 먼저 달 보내나 ‘문레이스’
과학동아
l
2018.12.12
D 프린터로 찍어낼 가능성이 높다. 지난 8월 NASA 연구팀이 달의 극지방에서 찾아낸 얼음(
하늘
색). 출처 NASA 또 하나 주목할 만한 달 자원은 얼음이다. NASA에서는 이미 지난 8월 달의 극지방에 풍부한 얼음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곳에 얼음이 풍부한 이유는 달의 회전축이 작아 햇빛이 ... ...
읽다 보면 저절로 수학지식이 쌓인다! 인기웹툰 '수학 잘하는 법'
수학동아
l
2018.12.09
정말 자신이 수학에서 꿈을 이루고 반짝이는 별이 될 수 있을지 생각한다. 그때 어두운
하늘
의 별빛이 도진의 눈에 박힌다. “은하의 관점에서 본다면 별이란 은하의 중심부를 흐르는 물과 같아서, 흐르는 물질의 운동을 표현하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 그 움직임의 비밀을 알아낼 수 ... ...
[여기에 과학] 퀸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 '태양의 길'에 빠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황도광이라 합니다. 태양에 가까울수록 밝으며, 일출 전 동쪽
하늘
이나 일몰 전 서쪽
하늘
에서 잘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7119스페인령 테네리페섬의 관측소에서 연구하던 브라이언 메이.-임페리얼칼리지런던 제공 메이는 스페인령에 속하는 아프리카 테네리페섬의 해발 약 2567m의 ... ...
감마선으로 보이지 않던 별자리 새 지도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08
감마선 별자리. NASA 제공 사람들은 문명이 시작되기도 전인 까마득한 옛날부터 밤
하늘
을 관찰했다. 밤
하늘
에 가득한 별 중 가까운 것을 이은 다음 그 형태에 따라 떠오 ... 볼 수 있다. 관련기사 : 어린이과학동아 12월 (2018.12.1 발행) 헐크와 고질라가 밤
하늘
에? 새로운 별자리가 떴다 ... ...
[노벨상 시상식]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2018.12.08
방법을 찾아냈다. 레이저로 세포와 바이러스 포획 당시 빛의 힘을 측정하기란 ‘
하늘
에서 별 따기’였다. 이론적으로 계산은 할 수 있었지만 실험으로 힘의 크기를 측정한다는 게 매우 어려웠다. 애슈킨 연구원은 작은 입자에 빛을 쏴 입자가 가속하는 정도를 측정해 빛의 힘을 재는 방법을 ... ...
[별별이야기]크리스마스 혜성을 만나 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8.12.07
온 D/1770 L1 렉셀 혜성으로, 지구와 달의 거리 약 6배 지점을 지나갔습니다. 지금도 밤
하늘
에서는 비르타넨 혜성이 가장 밝게 빛나고 있습니다. 11월 초 밝기가 8등성이었다가 지금은 5등성(12월 7일 기준)의 밝기로 빛나고 있습니다. 이 밝기는 이론상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어두운 밝기인 6등성보다 2 ... ...
[영상]영국왕립학회가 뽑은 올해 최고의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색색으로 빛나는 오리온성운을 담았다. 오리온자리는 겨울밤 고개를 들어 남쪽
하늘
을 바라보면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별자리다. 사진은 오리온자리 속 오리온성운을 2017년 11월과 12월에 걸쳐 6개의 색 필터로 나눠 촬영한 후 하나로 합쳤다. 하얀빛으로 반짝이는 평소와 다른 신비감을 준다. ... ...
[영상]한반도 태풍·국지성 폭우 감시할 ‘천리안 2A호’발사 성공
2018.12.05
발사 5초 전 마지막 카운트다운이 끝나자 높이 54.8m의 우주발사체가 땅을 박차고
하늘
로 솟아올랐다. 로켓이 시야에서 사라지고 30여 분 뒤 ‘위성 분리’를 알리는 표지판에 불빛이 들어오자 통제동에서는 환호와 함께 박수가 터져 나왔다. 우리 손으로 만든 정지궤도 기상관측위성 ‘천리안 ... ...
40년 미제사건 푼 과학수사,과학계 미투운동…올해 최고 과학뉴스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아이스큐브가 포탁한 중성미자의 경로를 수색했다. 그 결과 북반구
하늘
에서 보이는 오리온자리를 지나 남극까지 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 끝에는 태양보다 1억배 큰 블랙홀을 가진 블레이저가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고에너지 우주 중성미자의 발원지가 블랙홀이었다는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