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낯
안면
겉
표면
머리
용모
화상
뉴스
"
얼굴
"(으)로 총 1,919건 검색되었습니다.
토끼와 강아지를 합쳤더니
팝뉴스
l
2018.12.07
게 자평. 하지만 많은 네티즌들은 강아지처럼 보이기도 한다고 말한다. 즉 ‘토끼
얼굴
을 가진 강아지’가 정확한 묘사라는 것이다. 가벼운 마음으로 시도해서 만든 합성 이미지인데,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는 인기가 높다. 사진 속 동물은 토끼나 강아지보다 두배 더 귀엽다는 게 지배적인 평이다 ... ...
뭘 보나? 노려보는 사람
얼굴
물고기
팝뉴스
l
2018.12.06
사진이다. 물고기를 촬영한 사진인데 물고기가 조금 이상하다. 물고기
얼굴
이 사람의
얼굴
을 닮았다고 말하는 네티즌들이 많다. 특히 눈이 사람 눈이다. 물고기를 카메라를 든 사람을 뚫어지게 보고 있다. 노려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물고기의 눈빛은 이런 질문을 하는 것 같다. “뭘 봐?” ... ...
웃는
얼굴
의 심해 생명체 ‘화제’
팝뉴스
l
2018.12.03
이들이 많다. 이 바다 벌레는 능글거리면서 사람을 바라보는 것 같다. 웃는 듯한 저
얼굴
은 사실 입 부분에 해당한다고 한다. 취향이 독특한 네티즌들은 이 생명체가 아름답고 귀엽다고 호평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너무너무 귀여운 거북들
팝뉴스
l
2018.12.01
풍부해 귀엽다. 강아지도 귀여운 표정을 잘 짓는다. 고양이도 토끼도 생각만해도 귀여운
얼굴
이다. 그런데 포유류만 귀여운 것이 아니다. 파충류도 가장 귀여운 표정 연기를 할 수 있다. 미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 최근 공개된 사진이다. 새끼 붉은 바다 거북들이다. 표정이 놀랍도록 다채롭고 ... ...
이상하게 생긴 양
팝뉴스
l
2018.11.30
자연스럽지 않은 것이다. 특히 검은색 다리와 커다란 귀가 수상하다.
얼굴
도 양의
얼굴
이라고 하기 어렵다. 다수의 네티즌들은 사진 속 동물이 양이 아니라 개라고 주장한다. 하얀 털의 개를 분장시켜 양으로 바꾸어 놓았다는 것이다. 분명히 설득력 있는 주장이다. 그런데 그런 생각을 갖고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간지럼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웃음에서 뇌의 같은 부위가 반응했다. ‘중심후방 판개(Rolandic Operculum)’라는 부위로,
얼굴
의 움직임과 음성, 그리고 감정적 반응과 관련된 곳이다. 일러스트 우아영 기자 하지만 간지럼에 의한 웃음은 유머에 의한 웃음과는 다른 점이 있었다. 시상하부(hypothalamus)에도 반응이 나타난 것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몸의 노화는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개념이다. 나이 들어 늙는 건 총체적인 현상으로
얼굴
과 몸의 섬세한 조율이 무너지고(따라서 외모가 예전만 못하게 된다) 소화력 같은 생리 기능과 순발력 같은 신체 기능도 떨어진다. 반면 세포의 노화는 세포가 분열을 하는 능력을 잃어버렸음을 의미한다. ... ...
英 새 50파운드 지폐에 들어갈 과학자는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18.11.27
증기기관의 혁신을 이끌어 산업혁명의 시발점을 알린 제임스 와트와 사업가 매튜 볼튼의
얼굴
이 들어갔다. 영국의 수학자, 암호학자, 논리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의 선구적 인물이다. 알고리즘과 계산 개념을 튜링 기계라는 추상 모델을 통해 형식화함으로써 컴퓨터 과학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 ...
"4차 산업혁명 기술로, 4차 산업혁명 인재 길러야”
동아사이언스
l
2018.11.26
인간 교사의 지위를 충분히 위태롭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킴 부학장은 “지금도 AI에
얼굴
이미지와 목소리만 입력하면 원하는 대로 움직이며 내용을 설명하게 만들 수 있다”며 “본인이 좋아하는 아이돌 가수의 이미지를 AI에 접목한 교사가 머지 않아 탄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킴 ... ...
[암호기술 혁명]③생체정보 철벽 보호하며 2.5초 만에 신원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블록체인과도 결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중 생체인증 기술은 지문과 홍채,
얼굴
인증 기술을 통합해서 보안을 강화하는 방식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해 신뢰를 구축한다는 게 장점인데, 생체정보는 민감한 개인 정보이기에 그대로 공유할 수 없다. 여기에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