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학
보존
뉴스
"
보존과학
"(으)로 총 784건 검색되었습니다.
'성경'이 '종의 기원'을 보듬을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7.28
◆예수와 다윈의 동행:그리스도교와 진화론의 공존을 모색하다(신재식 著, 사이언스북스 刊) 인류 역사에서 종교와 과학의 충돌은 종종 있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지구가 태양 주변을 돈다는 '지동설'을 주장했다가 벨라르미노 추기경 앞에서 무릎을 꿇고 주장 철회를 약속해야만 했고, ... ...
조선시대 미라와 이집트 미라, 어떻게 다른가
동아일보
l
2013.07.15
[동아일보] 대전 국립중앙과학관 ‘미라 특별전’… 과학을 통한 고고학 연구성과 소개 ‘한반도 미라는 이집트 미라와 어떻게 다를까.’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와 국립중앙과학관이 16일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 상설전시관에서 특별전 ‘과학, 미라를 만나다’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 ... ...
넓은 논 사라지니 수원청개구리도 줄어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3.07.11
지난해 '어린이과학동아'에서 어린이 독자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모집한 '수원청개구리 탐사대'는 올해 '지구사랑 탐사대'로 확대개편해 전국 250여명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어린이를 포함한 일반인들이 전문 연구자들과 함께 연구하고 멸종 위기종 동물의 보존 방안 ... ...
남극 속살 탐사할 장보고과학기지 '스탠바이'
동아사이언스
l
2013.07.11
우주에서 날아오는 운석이 가장 많이 발견되는 곳은 어딜까. 바로 사람이 거의 살지 않아 운석이 있는 그대로 보존될 수 있는 남극이다. 전 세계 운석의 80%가 남극에서 발견되지만 우리나라가 발견한 것은 1%도 안 된다. 관련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기지가 남극에 없기 때문이다. 물론 킹조지 섬 ... ...
1만 명에 가까운 인력이 동원된 왕릉 조성사업
동아사이언스
l
2013.07.10
선릉의 기신제 - 이종호 박사 제공 온릉을 설명하면서 기신제에 대해 설명했지만 각 릉마다 매년 제향일을 정하여 에서 봉향을 주도한다. 기신제는 일반적으로 한밤중(새벽 1시부터 2시)에 거행했는데 현재는 낮 12시를 중심으로 봉행한다. 매년 성종릉은 2월 4일, 정현왕 ... ...
화성을 지구처럼…테라포밍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20
“우리는 크립톤 행성이 언젠가는 파괴될 운명이란 것을 알고 유사한 행성을 끊임없이 찾아왔다. 지구도 후보 행성 중 하나였지. ‘월드엔진’을 가동해 지구를 크립톤 행성처럼 바꾸겠다.” 슈퍼맨의 탄생을 다룬 최근 개봉 영화 ‘맨오브스틸’에서 크립톤에서 반역을 도모한 장군의 한마 ... ...
죽어서도 나란히 누워있는 왕과 왕비
동아사이언스
l
2013.06.16
강릉의 문무인석 - 이종호 박사 제공 강릉은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마련한 쌍봉릉이며, 두 릉 모두 병풍석을 둘렀고 12칸의 난간석으로 연결되었다. 봉분의 봉토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인석(引石)에 화문(花紋)을 장식한 것이 이색적이다. 대체로 태릉과 마찬가지로 설 ... ...
美 CNN “황우석팀, 매머드 사체서 혈액 발견”
동아일보
l
2013.06.02
[동아일보] 온전한 세포 확보땐 복제 가능할수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사진)팀과 러시아 연구팀이 빙하기 때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매머드의 사체에서 혈액 등을 확보해 ‘매머드 복제’가 가능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국 CNN방송은 “과학자들이 극동 러시아 해안의 랴홉스키 섬에서 1만 ... ...
폐열로 우주탐사선 움직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5.29
열전모듈이 장착된 토성탐사선 '카시니호' - 이종수 교수 제공 1977년 6월과 8월에 각각 발사된 미국 우주탐사선 보이저 1, 2호에는 ‘방사성동위체열전발전기(RTG)’가 장착돼 있다. RTG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1960년대에 개발한 우주선 전용 전력원으로,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해 약 300W의 ... ...
대멸종기 퇴적층에서 발견한 식물의 강한 생명력
동아사이언스
l
2013.05.26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는 크림빵처럼 생긴 식물의 꽃가루를 표지에 담았다. 식물의 끈질긴 생명력의 끝은 어디일까. 테렌스 블랙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지구대기과학과 박사팀은 트라이아스기-쥐라기 경계 대멸종(T-J멸종)이 일어나는 동안에도 식물들이 번식을 위해 포자를 만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