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뉴스
"
망원경
"(으)로 총 1,166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무아무아’에 대한 하버드대 과학자들의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보낸 사신이었을까.' 지난 2017년 10월 19일 미국 하와이대의 ‘판스타스(Pan-STARRS)1’
망원경
에 한 물체가 처음으로 포착됐다. 평균 지름 230m인 이 정체 불명의 물체는 얼음이나 암석으로 구성된 소행성이나 혜성과는 다른 특성을 보였다. 표면에 유기물의 흔적도 나왔다. 특히 초기 진입 ... ...
여성 과학자로 사는 건 ‘산넘어 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1
가시지는 않나요? 저희는 남아프리카공화국과 호주, 칠레등 남반구의 세 나라에 있는
망원경
이 관측한 자료를 받아 분석하고 있어요. 그 결과, 2015년 10월부터 지금까지 총 14개의 외계 행성을 발견했답니다! “미세조류의 아름다움에 반해 극지로 떠났어요!” 전미사(극지연구소 ... ...
외계행성 도는 ‘달’ 최초 발견
과학동아
l
2018.11.05
‘케플러-1652b’를 주목했다. 그리고 케플러우주
망원경
보다 해상도가 4배 높은 허블우주
망원경
으로 40시간 동안 관측했다. 그 결과 이 행성에 위성이 존재한다는 두 가지 단서를 발견했다. 대개 행성이 중심별을 통과할 때에는 별이 어두워진다. 그런데 케플러-1652b가 별을 통과하고 3시간 30분 뒤 ... ...
지구 닮은 행성 존재 알리고 은퇴하는 케플러 우주
망원경
2018.11.03
자리를 물려줄 시기가 오고 있습니다. 바로 허블
망원경
의 차세대 주자인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
(JWST)입니다. JWST는 150만km 상공에서 별을 관측할 예정입니다. JWST는 독특하게도 육각형의 오목거울이 모여 허블의 집광 영역의 7배인 6.5m 너비의 거울을 만들어냅니다. 크기가 워낙 커서 접힌 채로 ... ...
영화 '퍼스트맨' 보는 관객을 위해 정리한 NASA 스토리
과학동아
l
2018.11.03
우주로 나가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 또 1990년대에는 허블우주
망원경
, 찬드라 X선 우주
망원경
등을 우주에 올려놨다. 우주왕복선은 몇 차례 사고를 겪으며 2011년 7월을 끝으로 운행이 중단됐다. 현재 NASA는 우주비행사 4명을 태우고 우주로 나갈 수 있는 ‘오리온(Orion)’을 개발하고 있다. 우주 개발 ... ...
“10년 전 ‘자성 그래핀’ 주변 반응 냉담했지만…지금은 함께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때문에 여기서 놓친 것들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
망원경
으로 달을 관측했지만 달에 직접 가보면 또 다른 것과 비슷하다”고 덧붙였다. 산업적인 응용 가치도 높다. 자성을 띠고 있는 만큼 물리학자들이 숙원인 ‘두께 없는 2차원 자석’을 구현할 수 있기 ... ...
2600개 외계행성 찾은 케플러 우주
망원경
'영면'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뒤흔드는 연구의 핵심 자료들을 제공했다”고 말했다. 지난 2009년 3월 발사된 케플러 우주
망원경
은 태양궤도를 돌며 9년에 걸쳐 태양계 밖에 존재하는 2600여 개의 외계행성을 규명했다. 현재까지 발견된 외계행성의 70%를 케플러가 찾은 것이다. 케플러는 2012년 설계수명을 넘긴 다음, 자세를 ... ...
세계는 지금 '우주'라는 신대륙 탐험을 준비하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18.10.30
최 책임연구위원은 “이 기술에 필요한 집광기는 지름이 20m 되는데, 그대로 우주 관측
망원경
으로 활용할 수 있다”며 “한국이 직접 참여해도 좋은 분야”라고 소개했다. 그밖에 표토 자체를 제거하는 기술이나 거주공간 구축 기술, 에너지 현지수급 기술 등 달이나 행성 현지에서 현지 자원을 ... ...
마젤란이 본 위성은하 '마젤란'은 충돌중
동아사이언스
l
2018.10.27
볼 수 있는 가장 먼 천체로 꼽힌다. 오에이 교수팀은 유럽우주기구(ESA)가 발사한 우주
망원경
인 가이아로 촬영한 소 마젤란 은하 데이터 수 년치를 수집해 분석했다. 은하를 이루는 대표적인 별들 각각이 움직이는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전체 별을 볼 수 없어, 연구팀은 315개의 대표적인 별을 ... ...
중심에 거대질량블랙홀 2개 가진 은하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18.10.25
비슷한 궤적이 발견됐다. 예를 들어 지구에서 100억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3C 334를 전파
망원경
으로 보면 긴 제트가 나오고 그 끝에 제트에서 방출된 물질이 마치 바람에 날린 연기처럼 한 쪽으로 쏠려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위 사진). 중심을 기준으로 반대쪽에도 비슷하게 쏠린 물질이 보인다.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