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두께
"(으)로 총 1,144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의 EMP 공격 막을 수 있는 차폐소재, 어디까지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0.20
10억분의 1m)
두께
의 멕슨을 층층이 쌓아올려 만든 45㎛(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m)
두께
의 차폐 필름은 금속만큼의 차폐 성능을 보였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개발한 전자파 차폐 소재의 모습. 고분자인 ‘폴리카프로락톤’ 속에 구리로 코팅된 속이 빈 모양의 공을 넣어 전기전도성을 ... ...
아이폰8에 대해 궁금한 것들
2017.10.11
디자인 차별성에 대해서 아쉽다고 느끼는 것도 이 때문일 겁니다. 아참, 아이폰8의
두께
는 아이폰7보다 0.2㎜ 두꺼워졌습니다. 기존에 쓰던 케이스는 종류에 따라 조금 빡빡할 수 있습니다. 사실 디자이너로서는 케이스를 씌우지 않고 쓰길 바랄 겁니다. 하지만 충격에 대한 불안감을 무시할 수도 ... ...
초대형 악어를 토닥거리는 남자
팝뉴스
l
2017.10.11
일부이다. 초대형 악어가 물고기를 입에 물었다. 길이는 5미터가 넘어 보인다. 몸통의
두께
가 성인남성의 갑절은 될 것 같다. 작은 웅덩이 옆에서 식사를 하던 이 악어에게 한 남자가 다가와 등을 두드린다. 악어를 토닥거리는 남자는 겁이 없는 것일까 아니면 정신이 없는 것일까? 해외 ... ...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
과학동아
l
2017.10.06
공급받고 있다. 고도 근시가 계속 진행되면 100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
두께
의 벽지는 점점 얇아진다. 이것이 찢어지면 시력 상실의 주원인인 망막 박리가 생긴다. 안구가 점점 커지면 혈관층도 얇아진다. 망막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고, 새로운 혈관들이 무작위로 생겨나면서 망막을 ... ...
2mm 알루미늄으로 만든 13m 조각품
팝뉴스
l
2017.09.28
엑스포에 내놓은 최근작 미니마/막시마 역시 그의 장기를 여실히 보여준다. 그는 고작 2mm
두께
의 얇은 알루미늄판을 엮어서 4층 건물 높이의 조형물을 만들어냈다. 물론 언제나 그렇듯이 튼튼하기 그지없다. 이렇게 얇고도 튼튼한 조각품(건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치밀한 계산과 준비가 필요하다.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깊이 약 5~35km), 맨틀, 핵으로 구성된다. 맨틀은 다시 상부맨틀과 하부맨틀로 나뉘며 총
두께
는 2900km에 달한다. 지각 밑으로 딱딱한 암권맨틀층이 깊이 100km까지 있고 물렁물렁한 연약권 맨틀층은 약 400~700km까지 존재한다, 이 둘을 합쳐 상부맨틀이라 한다. 그보다 더 깊은 구간부터 핵의 경계까지가 ... ...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꾼 파란 꽃
과학동아
l
2017.09.23
30도 이상이면 표피세포는 납작한 모양으로 바뀐다. 반면 섭씨 10~20도에서는 상면표피의
두께
가 두꺼워져 잎의 색이 진해진다. 캐시 마틴 영국 이스트 앵글리아대 대사생물학과 교수팀은 밝은 자주색(마젠타)의 금어초 꽃잎의 표피세포가 원뿔 모양에서 납작하게 바뀌고 이 때문에 꽃잎이 옅은 ... ...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세계’ 실시간으로 엿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별명을 가진 그래핀은 탄소 원자 6개가 육각 구조를 이루며 그물처럼 넓게 펼쳐진다.
두께
는 고작 0.34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밖에 안 되고, 오로지 수소 이온만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그물눈이 촘촘하다. 그래핀 그물을 이용하면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백금 결정이 자라는 모습을 관찰할 ... ...
바늘 없는 ‘안 아픈 주사’ 상용화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17.09.20
밀어 약물을 피부 속으로 침투시키는 원리다. 주사기 구멍은 머리카락 한 가닥
두께
정도에 불과, 피부 신경망을 건드리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지 못 한다. 초속 150m의 속도로 빠르게 분사되기 때문에 아픔을 느낄 새도 없다. 연구진은 인슐린 분비가 되지 않는 제1형 당뇨병에 ... ...
방사선 막는 ‘초경량 미래 우주복’ 등 첨단소재 연구 활기
동아사이언스
l
2017.09.17
말했다. 기존 우주복은 무게가 5㎏ 넘게 나가 입고 자유롭게 움직이기 어렵다. 1.5㎝
두께
의 두꺼운 우주복도 감마선 세슘(Cs)을 기준으로 방사선의 30%밖에 차폐하지 못한다. 이 센터장은 “고순도의 BNNT를 합성해 섬유화 할 수 있다면 가볍고 얇아 유연하면서도 차폐율이 높은 우주복을 만들 수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