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부대
술고래
오스트레일리아
술꾸더기
술꾸러기
술보
술푸대
d라이브러리
"
호주
"(으)로 총 1,268건 검색되었습니다.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성운이 성단과 함께 어우러져 있다. ‘달리는 닭(Runnging Chicken, IC2948)’이라고 부르는데
호주
니까 달리는 에뮤(타조와 비슷한 새)라고 부르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별빛정원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곳은 소원 우물(NGC3532) 성단이 아닐까? 어떻게 보이기에 그런 이름이 붙었을까? 망원경으로 관찰하고 ... ...
자동차보다 빠르고 우리나라를 덮고도 남는 태풍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연안에서 발생하면 허리케인, 인도양에서 발생하면 사이클론이라고 부른다. 남태평양
호주
부근에서 발생하는 태풍을 윌리윌리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 지역 원주민들에 의해 붙여진 이름이다.우리나라는 북태평양에 위치해 태풍의 영향을 받는다. 해마다 지구 전체에서 열대성 저기압은 평균 80회 ... ...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이용해 빠르게 움직이는 공의 궤적을 계산한다. 지난 2005년부터 윔블던,
호주
오픈 등 주요 테니스 대회에 쓰이기 시작했다.호크아이 시스템은 촬영 시각을 맞춘 6대 이상의 고속카메라를 사용한다. 각 카메라는 움직이는 공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초당 60프레임의 속도로 촬영한다. 호크아이 시스템은 ... ...
[culture] 발로 느끼는 숨 막히는 절경 그레이트 오션 워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호주
답게 그레이트 오션 워크 외에도 에코투어의 지역과 종류가 무척 다양하다.
호주
의 배꼽이라 할 수 있는 울룰루와 카카두 국립공원 트래킹부터 캥거루섬의 자연과 바다를 체험하는 해양에코투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호초를 가졌다는 그레이트 베리어 리프 투어 등 프로그램들이 ... ...
새가 ‘동성애’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존재 이유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다.그런데 조류만큼은 그 설명이 가능해질 것 같다.
호주
의 생태학자들이 동성애는 새끼를 돌보는 태도와 깊은 관련이 있다고 저널 ‘동물행동’ 7월 5일 온라인 판에 발표했다.
호주
뉴캐슬대의 죠프 맥팔랜드 교수팀은 동성애가 발견됐다고 기록된 새 93개 종을 ... ...
태풍 이름을 미리 맞혀 보자~!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태풍이 한 지역에서 여러 개 발생하면서 혼란을 막기 위해 이름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호주
기상 예보관들은 태풍에 자신이 싫어하는 정치가의 이름을 붙였다. 예를 들어 싫어하는 정치가 이름이 앤더슨이라면 “현재 앤더슨이 태평양 해상에서 헤매고 있는 중입니다” 와 같이 예보했다.이후 미국 ... ...
한국,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종합 4위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전 세계 수학영재들이 참가하는 ‘두뇌 올림픽’으로 1988년 제29회
호주
시드니 대회부터 참가한 우리나라는 2006년과 2007년 3위, 2008년과 2009년 4위를 기록했습니다.한편 지난해 이 대회에서 5위를 기록한 북한은 이번 대회에서 임시채점 결과 2위를 차지했지만 실격했습니다. 6명이 참가한 북한은 한 ... ...
선거제도 수학으로 파헤치다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의견을 반영하지만 과반수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최저득표자 탈락제와 결선투표
호주
의회나 미국 시의회에서는 다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최저득표자 탈락제를 활용한다. 1차 투표에서 최소득표자를 탈락시키고 2차 투표에서 다시 최소득표자를 걸러 낸다. 최후의 1인, 당선자가 나올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필리핀을 출발한 철새들은 몇 날 몇 밤 수백~수천km 바다 위를 날아 북쪽으로 이동한다.
호주
에서 출발한 도요새의 경우 쉬지 않고 한번에 7000~8000km를 날아 이동하는 습성이 있다. 대개는 평균 시속 60~70km 속도로 이동하다가 중간 중간 섬에 들러 허기를 달래고 지친 날개를 쉬곤 한다. 중국 남동부나 ... ...
물고기는 자외선으로 얼굴을 구분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수 있어요. 그 이유는 서로의 얼굴에 서 반사된 자외선 무늬를 볼 수 있기 때문이지요.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지벡 교수 연구팀은 이 사실을 밝혀 내기 위해 실험을 했어요. 자리돔이 든 수조에 자리돔을 닮은 물고기 두 마리를 넣자 자리돔은 침입자들을 곧장 공격했어요. 하지만 자외선을 보는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