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최후
끝
결말
맨나중
마즈막
궁극
d라이브러리
"
최종
"(으)로 총 1,82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진화론을 주장한 찰스 다윈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이 악마는 게임에 빗대면 완성형이나
최종
병기와 비슷한 개념이다.오래 전부터 사람들은 불멸을 꿈꿔왔다. 그렇기 때문에 다윈의 악마는 영원불멸하다. 우세한 종이 되기 위해서는 번식력이 뛰어나야 한다. 다윈의 악마는 한 번에 많은 자손을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컴퓨터는 이런 정보를 토대로 미사일에 붙은 방향날개를 이용해 궤도를 조금씩 수정해서
최종
목표점까지 날아가게 한다.탄도탄 공학의 백미 ‘열 차단’장거리 탄도탄이 우주발사체와 다른 특징이 또 있다. 민감한 폭약을 싣고 있는 탄두 부분이 지구로 재돌입할 때 손상을 입지 않도록 방열대책이 ... ...
중성미자 대결, 중국과 무승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현재는 두 결과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앞으로 오차를 줄이는 실험을 계속해
최종
변환상수를 얻을 것”이라고 밝혔다. [(위)우리나라의 레노검출기가 있는 영광 원자력발전소 전경. 원자로에서 나오는 전자중성미자를 풍부하게 활용할 수 있다. (아래)중성미자가 반응하면서 내는 아주 ... ...
나는 과학고로 대학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높은 경쟁률을 보인다. 지난해 전체 경쟁률은 19.5:1이었다. 보통 4월부터 원서를 접수해
최종
합격자 발표는 7월 말에 한다. 과학고는 전국에 19개교가 있다. 입학정원이 적게는 40명(제주과학고)부터 160명(세종과학고)까지 다양하다. 전국적으로 1460명 정도 뽑는다. 대부분 과학고는 7월 말에 ... ...
코페르니쿠스의 원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이름을 그렇게 지었다. 오늘날도 번번히 세계 무대에서 1등을 놓치는 미국의 프로야구는
최종
결승전을 월드시리즈라고 부른다.지구에 갇혀있는 우리의 우주론고대 과학자들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믿었다. 하늘의 별들은 ‘천구’라는 하늘면에 붙어있는 천체라고 믿었고, 태양과 행성은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다빈치두 분의 특허 모두 잘 들었습니다. 모두 우열을 가리기 힘들 만큼, 막상막하군요.
최종
심사 전에 먼저 공로상을 수여하겠습니다. S전자 박회장은 고대 수학자 헤론을, 파인애플사의 스티븐 박스는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추천했습니다. 부연 설명을 해 주시죠.저는 고대 수학자 중에 기술과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우리는 M! I! B! 바로 Math In Black이지. 어둠 속에서 수학으로 외계인을 찾는 특수 조직이야. 우리를 Men In Black이라고 착각하진 말아 줘. 우린 그 친구들처럼 ... 마지막 관문이 남아 있네! 오른쪽 지령을 완수해 주게. 우리는 먼저 MIB 본부로 가서
최종
합격자를 기다리고 있겠네. 건투를 비네 ... ...
수능 과학탐구를 정복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높다. 따라서 1단계 서류 평가를 통과해도 2단계 면접에서 전공 적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최종
적으로 불합격된다. 전공할 학과와 관련 있는 과목을 선택했을 때 면접에서도 유리하다.반면, 중위권 학생이나 하위권 학생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수능 등급과 수능 총점이다. 좋은 등급을 받아야 수시 ... ...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모든 것을 수로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했죠.훗날 플라톤(Platon, ca. 429 ~347 BC)은 소리는
최종
적으로 ‘간’에서 듣는다고 생각했답니다. 인체 장기 중 가장 부드러워서 작은 떨림에도 민감한 것을 보고 상상한 것입니다. 또한 그는 피타고라스파의 생각에 동조했습니다. 피타고라스의 음향학 연구를 ... ...
입시를 목표로 공부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대학에 와서 하고 싶은 연구를 마음껏 할 수 있다는 생각에 하영 군은 즐거워했다. 그가
최종
적으로 연구하고 싶은 것은 ‘인공세포’다. 단순히 DNA나 리보솜 같은 세포 소기관 몇 개만 합성하는 것이 아니라 세포 소기관 전체를 합성하고 조절하는 것이 꿈이다. 이렇게 하면 원하는 항체를 완벽하게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