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상"(으)로 총 1,970건 검색되었습니다.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과학동아 l2008년 12호
- 연구를 바탕으로 전두엽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뇌 훈련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외모지상주의나 인종차별 같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공헌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김학진 교수 > 고려대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보스턴대에서 석사를, 위스콘신주립대에서 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 ...
-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과학동아 l2008년 12호
- 천문학은 정치와 상당히 관련이 깊었다. 동양의 유교 정치에서는 임금은 하늘을 대신해 지상 만물을 다스리는 사람이었다. 하늘에서 전에는 보이지 않던 괴이한 천문현상이 일어나면, 그것은 하늘이 임금에게 보내는 경고 메시지로 여겨졌던 것이다.그래서 괴상한 천문 현상이 일어나면, 이것은 ...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과학동아 l2008년 12호
- 것으로 밝혀졌다. 카이퍼벨트 천체로 불리는 이들은 태양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있어 지상에서 가장 큰 망원경으로도 지름이 수십km 이상인 아주 큰 놈들만 겨우 관측될 뿐이다.이들이 모두가 아니다. 학자들은 해왕성 거리의 수십 배, 수백 배, 아니 수천 배에 이르는 광활한 태양계 외곽 공간에도 ... ...
- [물리]빛이 꺾이는 원리과학동아 l2008년 12호
- 파장이 긴 빛은 적외선, 보라보다 파장이 짧은 빛은 자외선이라고 하는데 대기를 통과해 지상에 도달하는 태양복사의 빛은 가시광선이 가장 많기 때문에 사람의 눈은 가시광선만 감지한다. 태양이 희게 보이는 이유는 일곱 가지 색으로 나타나는 빛을 모두 합치면 흰색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또 ... ...
- 삑~! 자연재해 경보 발령!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2호
- 통해 알 수 있다. 인공위성이 구름을 관측해 온도, 강수량, 풍속 등의 정보를 보내면 지상에서는 그 정보를 토대로 태풍이 생기는지를 감시한다. 중심 부근의 풍속이 초속 17m를 넘으면 태풍으로 규정하고 본격적인 감시와 예보를 시작한다. 자연재해 걱정 없는 그 날까지이제 곧 우리나라에는 태풍의 ...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08년 11호
- 이르는 흥미진진한 전시물로 가득한 국립과천과학관은 대지면적 24만 3970m2에 지하 1층~지상 3층으로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전시면적도 본관 전시시설만 1만 9127m2로 미국 익스플로러토리움(6512m2)이나 일본 국립과학미래관(7750m2)보다 2배 이상 넓다. 11월 말 이후에 개관하는 세계적 수준의 명품 ... ...
- 유인 우주탐사의 산실, 존슨우주센터를 가다과학동아 l2008년 11호
- 본부는 워싱턴 D.C에 있다.NASA의 모든 프로젝트는 크게 4가지 분야로 나뉘어 진행된다. 즉 지상의 항공기술을 연구하는 ‘항공’분야, 달과 화성, 그리고 그 밖의 우주를 개척하는 ‘탐사’분야, 지구와 우주탄생의 비밀을 밝히는 ‘과학’분야, 우주왕복선과 ISS 같은 NASA의 중심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과학동아 l2008년 10호
-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가 점점 사라지기 때문에 우주 공간에서 수천km를 통과하는 일은 지상에서 8km를 이동하는 정도밖에 안된다. 지난 3월 이탈리아 마테라 천문대에서 레이저 빔을 쏴 고도 1485km에서 돌고 있는 일본의 인공위성 ‘아지사이’(Ajisai)에 보냈고, 이 인공위성이 싣고 있는 반사경은 ... ...
- 바람 잡아 초고층 건물 보호한다과학동아 l2008년 10호
- 117층, 511m)를 포함해 많은 초고층 건물이 건설되고 있는 부산은 100층 건물 높이인 지상 500m에서 최대 초속 90m의 바람이 분다. 2003년 전국에 큰 피해를 준 태풍 매미의 최대 풍속(초속 60m)보다도 1.5배 세기 때문에 건물은 크게 흔들린다. 이 경우 건물이 받는 하중은 1m2당 1500kg에 이른다. 이 정도면 ... ...
- 밤하늘에 꼭꼭 감춰진 보물, ‘딥스카이’과학동아 l2008년 10호
- 휘감는 암흑대가 포인트화각이 넓은 광각렌즈로 별자리 전체를 담은 천체사진은 지상의 풍경과 밤하늘이 얼마나 잘 어우러졌는지, 별자리 주변의 희끗희끗한 딥스카이나 은하수가 맨눈으로 볼 때처럼 생생하게 표현됐는지가 포인트다.반면 망원렌즈를 이용한 천체사진은 성운과 성단, 은하의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