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앙"(으)로 총 2,337건 검색되었습니다.
- 1919년 경성, 물리학과 첫 졸업식과학동아 l2012년 05호
- 1955년까지 부산대, 경북대, 전남대, 전북대, 충남대 등의 국립대와 조선대, 고려대, 중앙대, 성균관대, 동국대, 한양대 등의 물리학과가 설립되었다. 그러나 1953년부터 1957년까지 물리학계의 교수들은 대거 해외 유학에 나섰다. 그러니 국내 대학은 교수가 없는 대학이 태반이었다. 김정흠 고려대 ...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과학동아 l2012년 05호
- 그 비밀을 하나씩 파헤쳐 보자.반도체 행성의 탄생과 피할 수 없는 운명반도체에는 중앙처리장치로 불리는 CPU와 저장장치인 메모리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트랜지스터를 기본 단위로 만들어진다. 트랜지스터는 일반적으로 모래에서 순도가 높은 실리콘 결정을 뽑아내 만든다. 원통 형태로 ... ...
- [시사] 난쟁이 행렬과 평균의 진실수학동아 l2012년 04호
- 보통 사람들의 소득 수준을 정확히 보여 주지 못한다. 만약 산술평균 대신 중앙값을 사용한다면, 한국 사람들의 대다수의 소득 수준을 더 잘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다.산술평균은 보통 사람들과 아주 돈을 많이 버는 사람들 간의 소득격차를 숨기는 효과도 있다. 만약 한국이 발전해 1인당 국민소득이 ... ...
- 20회 천체사진공모전 이글이글 타오르는 태양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많이 좋아졌다”고 이번 대회를 평가했다. 당선작은 한국천문연구원(www.kasi.re.kr), 국립중앙과학관(www.nsm.go.kr),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시상식은 4월 중에 열릴 예정이다. 주요 수상작을 미리 엿보자 ...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있다.과거 선거 데이터의 정확한 분석은 데이터 기반 선거의 핵심이다. 우리나라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선거가 끝날 때마다 투표, 득표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다. 하지만 각각 전국 1만 3167곳(17대)과 1만 3246곳(18대)의 투표소에서 2158만 1550명(17대), 1741만 5666명(18대)의 투표자가 만들어낸 선거 ...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과학동아 l2012년 04호
- ➊ 물을 렌즈로 만든다고?공부하다가 책 위에서 잠이 들었다. 일어나보니 입에서 침이 질질 새고 있다. 책에 흘린 침방울을 들여다보자. 혹시 침방울 아래의 글씨가 더 커 보이지 않던가? (…중략…)물이 수소결합을 하기 때문에 표면장력이 강하기 때문이다. 수소결합으로 물은 둥글게 뭉친다. 뭉쳐 ... ...
- 박쥐에서 발견한 신종 인플루엔자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중앙아메리카의 과테말라에 사는 ‘노란 어깨 박쥐’에서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발견했다는 연구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박쥐 체내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과테말라 남쪽 지역에서 21종 316마리의 ... ...
- 혀를 알면 발음이 보인다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지역적·언어적 환경이 발음 능력과 혀 운동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먼저 구회산 중앙대 영어교육과 교수는 사투리를 쓰는 사람의 발음 습관이 영어 발음을 할 때도 그대로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구회산 교수는 지역 사투리를 쓰는 사람이 영어 모음을 발음할 때 어떤 특성을 ... ...
- 복잡한 입시, 자연계 논술로 극복!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앞장을 서고 있다. 현재 통합문제를 고수하는 대학은 서울대, 연세대, 성균관대, 중앙대 등이다. 상위권 대학 자연계 논술문제의 특징과 대비책을 보자. ➊ 자연계 논술은 중등 교육과정을 중시한다. 2012학년도 입시를 치른 학생들은 고교 1학년 때 국민공통교과로 과학을 배웠다. 따라서 1학년 과학을 ... ...
-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이상률 소장 인터뷰과학동아 l2012년 03호
- Q. 간단한 자기소개와 한국우주연구원 소개 부탁합니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우주시스템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는 이상률입니다. 항공공학 공부를 했고 연구소에는 26년째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인공위성이 아닌 발사체 분야에서 일하다가 박사학위 취득을 위해 프랑스로 파견됐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