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비"(으)로 총 2,7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 한 편의 저자가 1014명?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저널에는 저자가 1014명인 초파리 유전체 분석 논문이 실렸다. 입자 가속기와 같은 거대 장비를 사용하는 이론 물리학 분야에서는 종종 발생하는 일이지만, 생물학 분야에서는 인간 게놈 연구와 같은 범국가적인 연구 프로젝트가 아닌 한 매우 드문 일이다.저자 1014명 중에는 대학원에 진학하지 않은 ... ...
- [과학뉴스] 시험기간 초콜릿 당기는 이유 있었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12일 동안 하루 3차례 설탕을 탄 단 음료를 마시게 한 뒤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비로 뇌를 촬영했다.실험 결과 단 음료를 마신 뒤에는 해마의 활성도가 눈에 띄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과 기억에 관여하는 해마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활성이 낮아지는데, 이를 높여준 것이다. 케빈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힘으로 공기에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사람이 진공상태의 우주 공간에 아무런 보호 장비 없이 나간다면, 몸 안팎의 압력차로 잠깐이라도 살아있기 어렵다. 영화 ‘토탈리콜’의 끝 부분, 대기가 희박한 화성에 나동그라진 사람의 얼굴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떠올려보자!모든 생명체는 오랫동안 ...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낮추는 방식. AT필드처럼 포탄 자체를 막지는 못하지만, 포탄이 떨어진 곳 주변의 사람과 장비가 받을 충격을 줄여줄 수는 있다.이제 됐다. 에바에게 필요한 건 얼추 갖췄다. 2015년을 맞을 준비가 된 것이다. 20년 사이 상상은 현실이 됐고, 14살 주인공 신지에 열광하던 소년은 어른이 됐다. “이미지가, ... ...
- [Knowledge] 뉴스룸-니버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덮고 있네요.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습니다. 저는 올해 1월에 이곳에 도착해 레이저 장비로 구름의 위치 및 분포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세 종류의 파장으로 구름의 높이, 너비, 두께를 알 수 있죠. 머지않아 화성이나 목성 대기탐사로 이직할 생각입니다. 여기선 제 능력이 아깝네요.나사 앵커 (할 ... ...
- [Knowledge] 건축물 진단하는 ‘문화재 의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미세한 움직임까지 정확히 진단할 수 있습니다. 아예 기둥에 기울기를 재는 자동계측장비를 달아두는 방법도 있습니다.실제 측정 자료를 보면, 기둥은 한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조금씩 꼬물꼬물 움직입니다. 대부분은 금세 제자리를 찾습니다만, 간혹 그렇지 못하고 한쪽으로 점점 심하게 기우는 ... ...
- [Knowledge] 3000t급 잠수함 장보고-III 산실,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축전지와 이어지는 전선의 차단기는 이것들에 합선이 발생했을 때 과전류가 다른 장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막는다. 이들 전선에는 다른 전자기기의 회로가 버틸 수 없을 정도의 많은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합선된 주변 시스템까지 마비시킬 수 있다. 선박 내 공기를 정화하고 선원들에게 전기와 ... ...
- [과학뉴스] ‘치맥 했구나?’ 식단 감시하는 목걸이 탄생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사라프자데 교수팀은 몸의 진동을 측정해 음식물 섭취를 알아낼 수 있는 목걸이형 장비 ‘웨어센서’를 지난 2월 미국전기전자공학연구소(IEEE)의 ‘센서저널’에 발표했다.웨어센스에는 고감도의 압전 센서가 장착됐다. 센서는 음식을 삼킬 때 목과 가슴 부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해 데이터를 ... ...
- [생활] 사물과 대화하는 세상, 사물인터넷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덕분이다. 웨어러블 기기는 몸에 간편히 장착해 센서를 통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장비로, 구글의 스마트 안경 ‘구글 글래스’나 나이키의 건강관리용 스마트 팔찌 ‘퓨얼밴드’가 대표적이다. 심장 박동수나 체온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주치의에게 전달하는 상황을 예로 들 수 있다.최근에는 ...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길게 만들기도 한다. 큐브샛은 개방형 위성이라 안에 통신, 생명과학, 재료 등의 실험 장비를 자유자재로 탑재할 수 있다. 첫 개발 이후 발전을 계속해 왔는데, 이제 바이오 3D 프린팅 기술(생체재료로 인공 조직과 장기를 만드는 기술)과 DIY생물학의 대중화로 활용이 정점에 달했다는 것이다. 한국은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