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음악으로 발견한 소통의 본질, 뮤지션 박새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대신 탐구의 대상을 음악 그 자체로 전환해보니 새로운 세계가 펼쳐졌다. 음악은 인간의 자연어였다. 언어를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는 인류 역사를 걸쳐 끊임없이 이뤄져왔다. 특히 최근 인공지능(AI)의 발달로 언어 분석이나 생성 분야가 비약적으로 성장했는데, 이런 자연어 처리(NLP) ... ...
- [여섯 번째 대멸종]의 시작? 하나둘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분석연구소 다비드 르클레르 박사는 “생물다양성 손실이 돌이킬 수 없는 상태에 이르면 인간도 위태롭다”고 경고했답니다.한편, 지난 12월 11일 세계자연보전연맹(IUCN)도 2020년에 전 세계에서 31종이 멸종했고, 3만 5765종이 멸종위기종에 추가됐다고 발표했어요. IUCN은 2~5년마다 멸종위기에 빠진 ... ...
- [2021 소미더뭐니] 우승자에 소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2040년 사육되는 소는 지금의 절반으로 줄 거예요. 소들은 넓은 들판에서 지내고, 인간은 대체육을 먹으며 공존하겠지요. 배양육은 기존 축산업이 가지고 있는 환경 오염, 자원 낭비, 동물윤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요.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인수공통질병도 막으며 건강한 지구 생태계를 만들 ... ...
-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내가 지금 뭐 하는 중이냐고? 먹는 파이와 원주율 파이를 구별하려고 학습하고 있어. 인간의 뇌 신경과 비슷한 기능을 하는 인공신경망을 사용하면 먹는 파이와 원주율에 대한 데이터를 학습해 두 가지를 구분할 수 있거든! 어린 아이가 고양이와 개를 볼 때마다 반복적으로 이름을 들으면서 둘을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주장하는 신고전주의 미술, 구체적 형태보다는 느낌과 색채를 중시하는, 현실보다는 인간의 감정을 중시한 낭만주의 미술 사조가 차례로 전개됐다. 이후 사진보다 더 사진 같은 사실주의 미술이 유행했고, 눈에만 보이는 것이 아닌 사람의 감정을 그림에 표현하는 인상주의 미술이 나타났다. 시간의 ... ...
- 공정한 AI는 허상인가과학동아 l2021년 03호
- 20일 만에 서비스 중단이라는 초유의 사태로 막을 내렸다. 사람들은 이 사건을 통해 AI가 인간보다도 더 극단적인 편견에 사로잡힐 수 있다는 사실을 피부로 느꼈다.사실 AI의 편향성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수년간 논의돼 왔다. 한국에서는 이루다를 통해 이제야 비로소 수면 위로 드러났을 뿐이다. ... ...
- [과동키즈]아픔 앞에 평등한 동물병원을 꿈꾸며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읽고 있었다. 그때 서울대 수의대 학생이 수의학을 소개하는 기사가 눈에 들어왔다. 인간 중심의 의학과 달리 모든 생명에 대해 공부하는 학문이라는 구절이나, 우리가 먹는 육류나 유제품도 수의사의 손을 거쳐 안전성을 평가받는다는 내용이 기억에 오래 남았다.나는 어렸을 때부터 똑똑하거나 ... ...
- [여섯 번째 대멸종] 한 종이 사라지면 생태계가 와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지구엔 생물이 많으니까 몇 종은 사라져도 괜찮은 거 아니냐고? 그건 아주 위험한 오해야. 지금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 건지, 한 종이 사라지는 걸 왜 막아야 하는지 ... 사라지는 속도는 새로운 종이 나타나는 속도에 비해 매우 빨라 심각한 상황이에요. 당장 다음 차례는 인간이 될 거예요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청주동물원, 토종동물 보호소를 꿈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기관이 노력하는 모습에 매우 흡족해 하였습니다. 우리를 괴롭히고 있는 코로나19도 결국 인간이 자연 서식지를 무분별하게 침범하고 개발하면서 생겨난 것인데요. 코로나가 종식되면 야생동물 시티투어를 다시 재개할 계획입니다. 온라인을 통해 청주동물원의 야생동물을 만나고, 동물원의 역할 ... ...
-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사람이 목적을 가지고 우주로 쏘아 올려 특정 천체의 주변을 도는 위성을 말하죠. 인간이 우주로 쏘아 올린 인공위성은 1957년 구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이래 2020년 11월 15일까지 1만 93개(유엔 우주사무국 발표)에 이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수많은 인공위성이 어떻게 지구로 떨어지거나 부딪히지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