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용
이용
사용
활용
어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애프리케이션
d라이브러리
"
응용
"(으)로 총 3,164건 검색되었습니다.
[체험] 정육면체와 정팔면체의 합체! 자이로스코프 만들기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자이로스코프의 수학적 성질실험에 소개된 정팔면체 자이로스코프는 정팔면체를
응용
하여 만든 것으로, 그 안에 정육면체를 끼워 넣은 모양이다. 물론 실제 자이로스코프처럼 정육면체가 자유자재로 회전하지는 못한다. 오히려 꽉 끼워 맞춰져 있다. 정육면체와 정팔면체의 꼭짓점과 면의 개수 ... ...
다섯 가지 과학을 입으면 IRON MAN 으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알려 준단다.미아 찾고 독거노인 돌보는 스마트웨어운동을 도와주는 스마트웨어를
응용
하면 미아를 찾거나 독거노인을 살필 수도 있어. 심전도와 호흡, 체온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거든. 미국 비보메트릭스 사에서 만든 라이프셔츠는 건강에 이상이 생기면 센서가 병원으로 정보를 전송해 ... ...
녹색기술의 선두주자, 초임계유체공학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교수가 되어 다양한 연구를 합니다. 초임계유체는 화학공학이 관여하는 모든 분야에
응용
될 수 있기 때문에 연구분야가 매우 넓습니다. 식품분야는 물론이고, 정교한 추출이 필요한 향료나 의약품을 생산하는 분야나 미세한 입자의 화약을 만드는 방위산업분야로 나갈 수 있습니다. 또한 ... ...
바이러스로 암 잡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조만간 바이러스를 이용해 암 유전자를 없애는 기술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서울대 생명과학부 안광석 교수팀은 바이러스를 이용해 마이크로RNA를 분해하 ... 조작해 암이나 다른 난치성 질환을 일으키는 마이크로RNA를 선별적으로 제거하는 치료제 개발에
응용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누가 더 친환경적일까?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기차, 버스, 비행기. 어떤 교통수단이 가장 환경에 좋을까?국제
응용
시스템분석연구원(IIASA)과 국제기후환경연구센터(CICERO) 공동연구팀이 500~1000km를 움직일 때 각각의 교통수단이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계산해 학술지 ‘환경과학&기술’ 6월 13일자에 발표했다.기존의 탄소발자국 계산기를 각 ...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92%이상 유지한다.이 방법은 죽은 뇌에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에 직접적으로
응용
하기는 쉽지 않지만 연구 자료로는 매우 획기적이다. 이 연구를 지도한 칼 다이스로스 교수에 따르면 이 방법을 써서 투명하게 만든 조직은 원상태보다 단단하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이어서 오랫동안 여러 가지 ... ...
촉각 마우스로 만져보고, 인터넷으로 옷 산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조절해 물체의 차갑고 뜨거운 정도를 구현해 냈다.박연규 책임연구원은 “이 기술을
응용
하면 실제로 만질 수 없는 박물관 유물을 마우스를 통해 느껴보거나 3D 온라인 게임을 하며 생생한 촉각과 현장감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 ...
“정답 없는 문제를 풀어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분자의 구조와 성질을 규명하는 기초학문입니다. 화학생물공학은 이런 기초학문을
응용
해 다양한 반응과 분리정제 과정을 설계하고 운용하는 법을 배웁니다.세제를 예로 들어봅시다. 왜 세제가 세탁능력이 있는지를 알아내는 건 화학자의 몫입니다. 하지만 어떻게 하면 세제를 대량생산할 수 ... ...
[독자탐방] 미니 브릿지 융합 수학을 맛보다!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것이 꿈이었던 나에게 이번 취재는 특별한 의미가 있었다. 어려운 문제를 풀거나 수학을
응용
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 이전에 수학의 아름다움을 즐기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수학의 아름다움!백창빈(성남 수내중 3)나는 이번 취재를 통해서 전에는 몰랐던 수학의 아름다움을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천문학적으로 늘어났습니다. 두뇌는 이런 다채로운 정보를 저장해 두고 상황에 따라
응용
하게 됐습니다. 이것이 인류가 뇌세포를 동시에 100% 쓰지 않는 진짜 이유입니다.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축적해 두고 빠르게 반응하기 위해서입니다.이제 마지막 질문을 던지며 글을 마치려 합니다.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