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서클
기본형
으뜸꼴
원
모형
둥근꼴
d라이브러리
"
원형
"(으)로 총 927건 검색되었습니다.
1. 1천m이상 「수직도시」구상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계획이다.이 건물의 특징은 사무실 호텔 주택 등의 복합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과
원형
의 연동(連棟)구조이므로 고층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풍력에 잘 견딜 수 있으며 채광면적과 조망이 좋다는 점이다. ■ 에어로폴리스(공중도시)21세기를 대표하는 상징적 의미로 오바야시건설(大林組)이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배치되도록 설계됐다. 반경 10km의
원형
상에 33개 망원경을 배치하고 안쪽에는 반경 0.5km의
원형
상에 9개의 망원경을 배치해 각각의 망원경들이 모두 연결되는 간섭계를 구성한다.이 망원경이 가질 분해능은 엄청나 10만분의 1초에 해당한다. 이러한 분해능으로는 가까운 별에 속한 지구 크기의 행성을 ... ...
동물전기설을 극복하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갈바니전기가 자침에 대해 끄는 힘을 발휘하고 그것은 철사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
으로 된다고 추론했다. 그런데 자침을 흔들리게 하는 힘은 철선이거나 동선이거나 전선의 재질과는 관계가 없으며, 유리나 자기 등의 절연물 속에서도 자침에 작용하는 힘은 변하지 않았다.문학과 자연철학에도 ... ...
3.큰폭으로 요동하는 기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후 다시
원형
으로 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10만년 정도다. 우리는 지금 지구공전궤도가
원형
에 가까운 기간에 살고 있으며, 따라서 연교차가 이심률이 큰 시기에 비해 적다. 둘째로 세차운동은 팽이가 돌 때 위에서 보면 그 축이 원을 그리며 돌듯이 지구의 자전축도 원을 그리며 돈다는 것인데 그 ... ...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여기에서 독자들은 신생대 말에 용암이 분출하기 이전에 오늘날의 임진강 수계망의
원형
이 이미 형성 돼 있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압산에서 분출된 용암은 결국 하곡을 메우며 흘러내렸는데, 이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몇가지 일이 발생했다.용암이 계곡을 메우는 과정에 있을 때에는 강물의 ... ...
우리의 조상인 실러캔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조상으로서 그 후손들이 엄청난 유형으로 발전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자신은
원형
을 유지한 채 전혀 변하지도 진화하지도 않았음은 정말 기가 막힐 사실이다. 실러캔스가 무려 4억년간의 나이를 가지는 그 기나긴 세월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으니 말이다. 물밖의 환경을 견디지 못한다는것이 ... ...
명왕성 Pluto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미국 해군천문대의 제임스 크리스티(James Christy)가 사진에 나타난 명왕성의 모습이
원형
이 아니라 한쪽이 불룩하게 튀어 나온 모습을 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그는 이전에 촬영된 명왕성의 사진들을 검토한 결과 같은 모습을 한 사진 일곱 장을 찾아냈다. 이 모든 사진에서 불룩한 방향은 항상 남북의 ... ...
오키펀오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역할을 하고 있다. 삼나무돔이 형성되고습지와 업랜드의 곳곳에는 직경이 2㎞나 되는
원형
의 와지가 분포하고 있다. 와지의 바닥은 점토로 돼 있어 배수가 불량해 물이 괴어 있고, 삼나무가 촘촘히 자생하고 있어 돔 형태로 보인다. 그늘지고 습하기 때문에 무수한 모기가 큰 공처럼 무리를 지어 ... ...
낙수가 만들어낸 구혈과 폭호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폭포들에게서 나타나는데, 흐르는 물의 힘에 의해 이동되는 자갈들이, 물이 떨어질 때
원형
을 이루면서 회전하는 와류(渦流)현상이 일어나면서 기반암을 깎아내는 굴식(掘蝕)작용을 일으킨다. 거대한 암괴에 단지모양의 매끈한 와지가 만들어지는 것이다.한편 폭호는 경북 청송 주왕산의 제1, 제2, 제 ... ...
인류의 남자조상은 아프리카 피그미족?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1989년 그는 세계 어느 민족보다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아카 피그미(Aka Pygmy)족에게서 이
원형
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는 피그미들이 아프리카의 가장 오랜 원주민이라는 사실까지 들어 이들이 세계각국으로 퍼져나가면서 하플로타입도 전파됐을것이라고 주장한다.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