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원형
대양
원양
서클
화성
일치
d라이브러리
"
원
"(으)로 총 4,985건 검색되었습니다.
10대 토론, 미성년자 동물 해부실습 찬반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영향은 저마다 다를 것입니다. 동물 해부실습을 획일적으로 금지하는 대신 실습을
원
하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에게 선택권을 주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한 가지 분명하게 말씀드리고 싶은 점은 저도 적절한 계획이나 절차가 없는 무분별한 동물 해부실습은 반대합니다. 학교의 동물 ... ...
[매스미디어] 3000만큼 사랑해, 블랙 위도우
수학동아
l
2020년 04호
연구팀은 MCU 영화의 인기 비결이 등장인물에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
’ 2020년 2월 26일자에 공개했습니다. 지금까지 관련 연구에서는 단순히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의 수만 세서 비교했기 때문에 영화의 성공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연구팀은 정보의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4화. 방정식의 근과 대칭은 무슨 사이
수학동아
l
2020년 04호
이를 방정식으로 나타내면 8000+x=10000입니다. 방정식을 푼다는 건 곧 8000
원
을 1만
원
으로 만들 어떤 미지수 x를 구하는 일입니다.일차 방정식은 방금 보신 것처럼 우리가 풀어야 하는 방정식에서 미지수 x의 최대 차수가 1인 방정식을 말합니다. 나아가 n차 방정식은 미지수의 최대 차수가 n인 방정식을 ... ...
[기초과학의 힘] ‘산업의 감초’ 과산화수소, 더 싸게 더 많이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최대 8배 이상 과산화수소를 많이 생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코발트와 질소
원
자로 만들 수 있는 구조 중에 이번에 개발한 구조가 가장 뛰어난 성능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컴퓨터 계산으로도 확인했다. 이는 계산화학 분야 전문가인 유종석 서울시립대 화학공학과 교수가 맡았다. 친환경 ... ...
[아이돌수학] 숙소 방 배정은 수학으로 해결! '레드벨벳'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지점이 나온다. 이 지점이 완벽히 ‘공평한’ 분배 지점이다. 그러나 실생활에서는 1만
원
정도의 차이까지만 가도 무시할만한 수준이라고 본 수는 더 쪼개지 않고 이 순간의 차액을 모아 중개수수료 등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복잡하다면 방 분배 계산기로★지금이라도 당장 레드벨벳에게 ... ...
[팩트체크] 비 오는 날 전기차 충전해도 될까?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여러 테스트를 통해 안전성을 입증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정성욱 한국에너지기술연구
원
수소연구실장은 “충분히 고도화된 기술로 실험한 만큼 안전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럼에도 늘 예외는 있습니다. 많은 사고가 그렇듯 위험은 우연한 상황이 겹치면서 발생합니다. 정 실장은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3화.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배우는 개념 하나하나가 브릭 블록인 셈이죠. y=1000x 같은 함수를 배우면, 하나에 1000
원
짜리 과자를 20봉지 사면 얼마를 내야 하는지 알 수 있죠. 이처럼 수학을 잘하려면 많이 보고 많이 풀고 많이 생각해보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많은 사람이 수학을 재미없게 느끼는 안타까운 이유이기도 하지만요. ... ...
우한에서 서울까지 47일의 기록...우한대 유학생의 우한 탈출기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나왔다(물론 기분 탓일 수 있다). 저녁에는 퇴소를 축하하는 조각 케이크가 나왔다.
원
래 디저트를 좋아하는데, 오랜만에 달콤한 케이크를 먹으니 정말 천상의 맛이었다. ● 격리 해제 1일째 2020년 2월 15일드디어 집에 간다는 설렘 때문인지 새벽 3시가 넘어서야 잠이 들었다. 오전 9시가 조금 ... ...
[이달의 책] 생명의 나무는 계속 자란다 외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것으로 그려졌다. 다윈이 그린 생명의 나무는 생명의 역사와 시간에 따른 진화, 그리고
원
시로부터의 분화와 적응을 한 번에 표현한 최고의 그래픽이었다. 적어도 20세기 후반까지는 말이다.생명의 나무는 1953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를 발견하면서 조금씩 흔들렸다. DNA와 RNA 등 유전 ... ...
코로나19 결말 영화 ‘컨테이젼’ 시나리오 따라가나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필자소개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
원
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
원
으로 근무했으며, 2000~2012년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8권)’ ‘늑대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가 있고, 옮긴 책으로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