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콤달콤 연구원의 연구노트] 둘레가 길면 넓이도 넓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6호
- 수밖에 없었어요. 셋의 텃밭은 넓이는 같지만 둘레는 모두 달랐거든요. 둘레가 20m인 여러 직사각형의 넓이를 비교해 볼까요? 둘레는 모두 같지만, 넓이는 제각각이에요. 아래 모눈종이에 둘레가 20m인 도형을 직접 그려보고, 넓이를 비교해 보세요. 직사각형이 아닌 도형들까지 그려보면 넓이가 다른 ... ...
- [우주 기네스] 지구로부터 가장 멀리 간우주탐사선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6호
- 보냈지요. 우주 탐사선은 어떤 천체의 궤도를 돌면서 그 천체를 오랫동안 관측하거나, 여러 천체를 빠르게 통과하면서 다양한 천체에 관한 정보를 지구로 보내요.인류가 우주로 보낸 탐사선 중 최초로 지구 바깥까지 도달한 탐사선은 ‘루나 1호’예요. 1959년 당시 소비에트 연방(소련)이 발사한 ... ...
- [특집] 물 위로 둥둥~! 잘 뜨는 법칙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6호
- 속은 텅 비어있고, 오직 밀도가 낮은 공기만 가득하지요. 그런데 바닷물 속에는 소금 등 여러 물질이 들어있어서 공기를 채운 튜브에 비하면 밀도가 높아요. 따라서 완전히 부풀린 튜브는 바닷물 표면으로 쉽게 떠올라요. 도전! 생존수영법‘생존수영법’을 활용하면 물이 너무 깊거나 주변에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월드를 편하게 누벼라! ‘자동 레일 설치기’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5호
- 커브 구간을 완성하세요. 레일 위에 수레를 설치해 즐겨 보세요! 잠깐! 레일의 종류가 여러 개인데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일반 레일은 아무런 동력이 없기 때문에 속도가 느리고 수레가 가다가 멈추기도 해요. 반면, 우리가 사용한 동력 레일은 레드스톤의 전기를 받아 작동하기 때문에 일반 ... ...
- [특집] 그림자, 예술이 되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5호
- 손으로 그림자를 만들어 토끼, 백조, 황소, 사람 얼굴 등을 나타내는 ‘핸드 쉐도우’와 여러 명의 몸으로 그림자를 만들어 자동차, 건물, 비행기 등의 모양을 만들어내는 ‘바디 쉐도우’가 있지요. 그림자 공연을 할 때도 ‘빛과 물체가 가까워지면 그림자의 크기가 커진다’는 특성을 활용해요. ... ...
- [현장취재] 세상을 구하는 착한 화학 마을 발명가, 오염된 강물을 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5호
- 판독기와 딥스틱을 이용해 쉽게 알아낼 수 있지요.손 박사님은 이렇게 알아낸 물속 여러 이온 농도 정보로 지도를 만들었어요. 지역별 수질 오염 정도를 지도로 한눈에 알아볼 수 있지요. 그 결과 환경 단체나 과학 단체, 그리고 언론의 관심을 많이 받지 못했던 소외된 지역의 수질 오염 문제를 알릴 ... ...
- [수학뉴스] 한국계 수학자 최초 필즈상 수상 '허준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5호
- 했지요.Q. 동료 수학자들과 함께 어울리며 수학을 연구하셨다고요.요즘 수학계에서는 여러 수학자가 하나의 문제를 두고 함께 연구하는 공동 연구가 아주 활발해요. 다른 동료들과 함께 생각하면 혼자 생각하는 것보다 더 멀리, 깊이 갈 수 있어요. 이 과정이 수학의 가장 큰 매력이에요. 전 연구자 ... ...
- [특집] 그림자의 속임수에 속지 마!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5호
- 원 모양 그림자가 생겨요. 이처럼 빛을 어떤 각도로 비추는지에 따라 그림자의 모양이 여러 가지로 달라져요. 실제로는 길이와 폭, 두께를 모두 가진 입체도형일지라도, 그 도형의 그림자는 두께가 없고 길이나 폭만 가진 평면도형으로 나타나기 때문이에요. 늘었다, 줄었다? 그림자 크기그림자는 ... ...
- 게임으로 만나는 놀러와! 도토리 슈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5호
- 다니엘이 이야기한 혁신은 바로 ‘도토리페이’였어요. 물건을 사고 돈을 내는 여러 가지 방법 중 하나지요. 다양한 결제 방법의 장단점을 한번 비교해 볼까요? 또, 신용카드로 결제할 때 붙는 수수료가 무엇인지도 알아 봐요. ...
- [과학 뉴스] 한국계 수학자 허준이 교수 첫 필즈상 수상!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5호
- 허준이 교수가 원이나 직선 등을 분석하는 대수기하학을 이용해 경우의 수와 같은 여러 조합론 문제를 해결한 공로로 필즈상을 수여했다고 밝혔어요. 카를로스 케니그 국제수학연맹회장은 “이런 발견은 잘 나오지 않는다”며 “조합론 연구로 필즈상을 받은 것은 이번이 최초”라고 말했답니다.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