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각
시력
과시
나타내기
d라이브러리
"
보이기
"(으)로 총 851건 검색되었습니다.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떼어 풀을 베는 '낫(Sickle)'이라고도 부른다. 모양에서뿐 아니라 농사를 시작하는 새 봄에
보이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여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낫의 동쪽(왼쪽)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세 개의 별이 직각삼각형 모양으로 놓여져 있는데 이것이 사자의 엉덩이와 꼬리 부분이다.사자자리의 뒤쪽에 ... ...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machine)였다.펀치카드와 전기릴레이이보다 앞서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전기식 계산기가 선
보이기
시작했다. 1800년대만 하더라도 전체 국민에 관한 통계자료를 처리하는 일은 여간 골칫거리가 아니었다. 즉 1900년에 조사한 통계자료를 처리해서 행정에 사용하려면 무려 1,2년이나 걸렸다. 그 사이에 ...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하고 일본의 앞선 기술력을 총동원, 우승은 따놓은 당상이라는 자신감을 공공연히 펼쳐
보이기
도 했다.대회 전에 강력한 우승후보로 떠오른 차는 혼다의 '드림'호. 실제 경주에서는 비록 2위(54시간 59분, 평균시속 54㎞)에 머물렀지만 이 자동차의 공기역학적 디자인은 크게 돋보였다. 차체를 케블러와 ... ...
화성(Mars)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바람에 날려 화성전체에 먼지 폭풍을 일으킨다. 이 때문에 화성 표면의 일부가 어둡게
보이기
도 한다. 화성에서 하늘이 붉게 보이는 것도 이 먼지 폭풍 때문이다. 먼지 구름은 표면에서 50㎞ 높이까지 날린다. 극관은 주로 얼음으로 돼있어 겨울에는 커지고 여름에는 줄어든다. 그러나 겨울에만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배우는 꼴이 된 셈이다.불모지로만 여겨졌던 생태사진분야에 새로운 변화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것은 3,4년 전. 이전까지 주제를 가리지 않고 사진을 찍던 작가들이, 곤충 거미 나비 해양생물 새 식물 꽃 등 자기 전공을 찾기 시작했고, 촬영대상 생태에 대한 지식이 쌓이면서 사진의 질이 급격히 ... ...
3 제6세대 컴퓨터를 향한 첫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초창기 컴퓨터연구는 뇌연구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60년대이후 양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발전해왔는데 최근 이를 재결합하려는 시도가 매우 활발하다.이 세상에는 두 ... 전자 기술은 고집적화와 고속화 면에서 기존 컴퓨터의 발전 속도를 유지하기에 한계를
보이기
시작했다 ... ...
가장 밝고 푸른 '사랑의 여신' 금성(Venus)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도는 금성에 태양이 비추는 면이 지구와 금성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지구에서 다르게
보이기
때문이다.지구와 쌍둥이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금성은 크기와 질량, 그리고 태양으로부터의 거리가 지구와 비슷해 지구와는 '쌍둥이 행성'으로 불려지고 있다.금성의 지름은 1만2천1백4㎞로 지구의 ... ...
한국과학재단 강홍렬 이사장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일시에 30군데의 정부출연연구소가 생긴 셈이지요"이번에는 1백25연구센터가 17자리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모두 여섯관문을 통과해야 최종적으로 선발 되는데…최근에 ... 연구비를 20% 이상 부풀렸다고 인정되는 센터에게는 적지 않은 불이익이 돌아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대한 우리의 전반적인 이해가 훨씬 나아지지 않는한 완전한 이해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그러나 최근에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들인 온코진(oncogene)이 20개이상 발견되었으므로 불과 7~8년전에 비해서도 우리의 암에 관한 이해는 훨씬 심화됐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1986년 말에 클론(clone)된 ... ...
앵무새보다 흉내를 더 잘내는 구관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야기하는 모습을 빤히 쳐다보기도 했고 고개를 갸우뚱거리며 열심히 경청하는 태도를
보이기
도 했다.사람의 말을 익혀 흉내내는 능력은 이 새에게 어떠한 의미를 갖는 것일까. 구관조를 비롯해 사람의 말을 흉내내는 새들은 예외없이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그렇다면 서로 떨어져 있는 동료와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