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친구
동무
벗
짝패
동지
패거리
짝
d라이브러리
"
동료
"(으)로 총 1,28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최고의 명탐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자기가 범인이 아니라고 우기는 용의자. 그런데 이게 웬걸? 몽타주를 보고 신고한
동료
직원은 막상 그가 잡히자 겁이 나는지 갑자기 그가 몽타주의 주인공인지 확실히 모르겠다고 태도를 바꿔 버렸다. 또한 그의 집 차고에 있던 자동차는 감시카메라에서 확인한 번호와는 틀린 번호판을 달고 ... ...
아름다운 15일 간의 우주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사고가 난 컬럼비아호에 직접 탑승한 경험이 있고, 또 컬럼비아호 폭발로 목숨을 잃은
동료
들과 가족같이 지냈었기 때문이죠.그리고 이번 디스커버리호의 임무는 단순히 국제우주정거장에 장비를 건네주고, 우주실험을 하는 것만이 아니었어요. 지난 사고로 인해 앞으로의 우주왕복선을 이용한 ... ...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특유의 여유를 잃지 않는 그지만 결코 잊을 수 없는 사람 하나가 있다. 지난 2003년 조난된
동료
를 구조하러 나섰다 목숨을 잃은 고(故)전재규 대원이다. 전 대원 이야기를 꺼내자 김 소장의 눈가는 금방 촉촉이 젖었다. 전 대원은 김 소장보다 정확히 20년 뒤 남극 땅을 밟은 앞길 창창한 후배였다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밀리미터파도 챙기면서. 은하가 서너개 뭉쳐 있는 ‘힉슨 그룹’에 관한 한은 스페인
동료
와 함께 세계 최고 전문가로 인정받는다. 천문학이라면 이 주제 저 주제 가리지 않고 관심이 너무 많은 것이 단점이라며 주변에서 충고한다고.▼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를 뒤지는 한국인 INTRO X선에서 ... ...
2. 다재다능한 중매쟁이 촉매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좀더 실용적인 촉매가 필요했다.1980년대부터 이 분야에서 슈록 교수와 경쟁자이자
동료
였던 캘리포니아공대의 그럽스 교수는 1992년 새로운 형태의 루테늄(Ru)촉매를 만들었다. 7년 뒤 그럽스 교수는 외부 환경 변화에도 매우 안정하며 반응도 획기적으로 잘 일으키는 새로운 형태의 루테늄촉매를 ... ...
교육의 꿈을 실현하는 수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성공이 아니라 실패일지라도 후배에게는 유용한 밑거름이 된다.그는 이 고민을 바탕으로
동료
들과 함께 지난해 한국여성수리과학회를 출범시켰다. 이곳은 여성 수학자들이 학문을 나누고 교류하는 공간이다. 그러나 그는 이 곳이 수학자를 꿈꾸는 후배 여학생들에게 용기를 주고 격려가 되는 ... ...
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에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그녀는 말한다. 당시 그녀의 전공이자 관심은 초신성.우연찮게 대학원 시절 옆방
동료
이자 이제는 평생 반려자가 된 리치 박사의 연구를 접한 그녀는 적외선의 매력에 쏙 빠져버렸다. 2001년 남편과 함께 스피처 연구센터로 옮겨온 그녀는 스피처 발사 전부터 지금껏 여러 성운 속에 웅크리고 있는 ... ...
개미가 내 방에 산다구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알면 알수록 놀랍기 그지없어요. 개미는 버섯을 재배하고 진딧물을 기르며 심지어
동료
가 죽으면 무덤까지 만들어 주는 곤충이랍니다. 인간을 제외하고, 아니 오히려 인간보다도 더 사회적인 존재가 개미라고 할 수 있지요. 그러나 개미의 집이 대부분 땅 속에 있기 때문에 그런 모습을 확인하기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미량의 물질
동료
에게 성적 유인을 포함한 어떤 행동을 일으키게 한다 예를 들어 개미가
동료
에게 먹이가 있는 곳이나 위험한 곳을 알리는데 사용된다 또한 후각이 발달한 표유류에게는 텃세권을 알리는 표지가 된다항성의 연속스펙트럼을 내는 곳으로서 항성 대기 속의 가상층 실제는 표면에서의 ... ...
세균의 우정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때 다시 움직이는 것을 발견했다. 이들은 움직일 수 있는 세균이 움직일 수 없는
동료
들에게 Tgl이라는 단백질을 전달할 것으로 추측했다.연구팀은 실험 결과 섬모가 있지만 Tgl 단백질이 없는 세균이 다른 세균에서 단백질을 받아 이동력을 회복하는 것을 발견했다. 카이저 교수는 “이것은 공생의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