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성
d라이브러리
"
깊은
"(으)로 총 2,1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지진 앞에서 무용지물이다. 태평양 터널 프로젝트는 여기서 좌절하는 것인가.태평양의
깊은
해구나 조산대를 피할 수 있는 방안은 해중터널(수중터널)이다. 더 이상 해저 지반을 뚫고 나아갈 수 없을 때, 해구나 조산대를 완벽하게 피할 수 있는 지점의 해저 지반에서 바닷물 쪽으로 뚫고 나와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장소로 유명한 영국의 성 바오로 대성당을 설계한 크리스토퍼 르엔은 기하학에 조예가
깊은
건축가였다. 그래서 그는 이 성당을 설계할 때 소리가 잘 모아지도록 지붕을 타원으로 지었다. 또 타원형 지붕은 미국의 국회의사당을 만들 때도 쓰였다. 타원의 두 초점에 위치한 서로 다른 두 정당이 멀리 ... ...
날카로운 자아발견의 시기, 사춘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소홀히 하지 말 것을 이야기 했다. 남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가르치는 내용 지식 이상의
깊은
내용을 알고 있어야 쉽고 풍부하게 가르칠 수 있다. 과학을 더 깊이 공부하려면 수학을 잘 알아야 한다. 뉴턴의 법칙이나 물리나 화학에도 수학이 쓰인다. 수학을 즐길 때 좋은 과학자가 될 수 있다.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시계를 내려보냈다. 캐머런 감독은 수심 1만 900m에 달하는 마리아나 해구(지구에서 가장
깊은
해구)를 1인 잠수정을 타고 내려갔다. 롤렉스는 특수 제작된 실험용 시계 ‘딥씨 챌린지(Deepsea Challenge)’를 잠수정의 로봇팔에 달았다. 해저 1만2000m 수압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딥씨 챌린지는 2008년 ... ...
오랑우탄은 훌륭한 건축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밝혀내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4월 16일 발표했다.오랑우탄은 단 하룻밤
깊은
휴식을 취하기 위해 집를 만들고 다음 날이 되면 버린다. 연구팀은 오랑우탄 집의 건축기술을 확인하려고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의 구눙 르우제르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오랑우탄들이 버린 집을 1년 이상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있다.이러한 해양플랫폼은 최근 자원의 고갈 및 에너지원 가격 상승에 따라 더욱
깊은
심해저에서의 채굴과 생산을 위해 건조되고 있다. 결국 플랫폼의 크기가 커지고 가격도 높아진다. 따라서 값비싼 해양구조물이나 고부가가치 선박을 설계하고 건조하는 데 있어 극한 해양 환경에 대한 안전성 ... ...
뇌조절 기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것이다.지금까지 살펴 본 방법들은 뇌의
깊은
부분을 자극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뇌의
깊은
부분은 인간의 복잡한 감정이나 기억을 담당한다. 이곳을 자극하기 위해선 긴 바늘 전극을 뇌에 찔러 넣어 전류를 직접 흘려주어야 했지만 이는 외과 수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심각한 상태의 환자들에게만 ... ...
너 자신을 알면 연애가 힘들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애가 너랑 만나게? 주제를 알아야지. 너가 원빈처럼 생기기라도 했냐?”소년의 마음속
깊은
곳에서 소년도 알고 있던, 그러나 애써 억누르고 있던 진실이 튀어나왔습니다. 소년은 원빈이 아니었고, 소년이 만나던 여인도 소녀시대가 아니었습니다. 둘 다 연예인처럼 예쁘고 잘 생겼을 리는 ... ...
침몰 100주년, 수학으로 다시 보는 타이타닉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관심을 집중시켰다. 그러나 타이타닉 호는 출항한 지 나흘 만에 빙산 충돌사고로 대서양
깊은
바닷속으로 영원히 잠들고 말았다.영화 ‘타이타닉’은 이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과학기술의 결정체였던 선박이 비운의 주인공이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뭘까? 왜 빙산을 피하지 못한 걸까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별의 핵융합 반응도 불가능해지고 만다.이렇게 미세구조 상수는 우리의 존재 자체와
깊은
관련이 있다. 양자전기역학의 창시자인 리처드 파인만도 이 상수의 미스터리한 면에 깊이 빠져 있었다. 파인만은 1985년 자신의 저서에서 α에 대해 “발견된 지 50년 이상이 흘렀지만 여전히 불가사의하며 어느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