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팀목
장대
받침대
대들보
실린더
원통
지주목
d라이브러리
"
기둥
"(으)로 총 900건 검색되었습니다.
착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1백20cm정도밖에 안된다.왜 이렇게 '불균형하게' 지었을까. 만일 동일한 굵기로 만든
기둥
을 동일한 간격으로 세웠다면 우리 눈에 건물의 모양은 직사각형이 아니라 c처럼 보일 것이다. 건물이 너무커서 전체 윤곽이 한눈에 들어오지 않고 위나 옆으로 퍼져 보이기 때문이다. 63빌딩 앞에서 꼭대기를 ... ...
뉴허블 통신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처음으로 보여주는 우주의 신비를 공개한다.1997년 2월 13일. 디스커버리호는 거대한 불
기둥
을 내뿜으며 하늘로 치솟았다. 조종간을 잡은 바우어삭스 기장은 93년 허블우주망원경(HST)을 수리할 때 탑승한 적이 있고, 스티븐 홀리는 허블우주망원경을 지구 궤도에 올려놓은 장본인이다. 이번 작업(STS-82 ... ...
1. 동굴벽화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야수’에서 두 주인공이 춤을 출 때 빙글빙글 도는 무도회장의 배경과 질감있는 대리석
기둥
의 무늬가 컴퓨터 그래픽으로 처리된 것이다.‘라이온 킹’에서는 들소떼가 질주하는 스펙터클한 장면이 2분 30초나 계속되는데, 손으로 그린 배경과 3D로 만든 들소들을 완벽하게 결합시킨 것이다. ... ...
바람
기둥
을 좇는 과학자들 이야기 트위스터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우리가 ‘회오리 바람’이라고 부르는 것은 저기압 핵심 주위에서 급하게 회전하는 공기
기둥
으로, 토네이도와 유사하지만 규모가 훨씬 작고 강도나 파괴력도 약하다.영화에는 단 며칠 동안 토네이도가 대여섯 번 등장한다. 어느 영화 잡지에서는 이 점을 이 영화의 ‘옥의 티’라고 했는데, 과연 ... ...
과학으로 푸는 고대 전투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해도 잘못 들어서면 영영 빠져나오지 못한다고 한다.그림에서 파란
기둥
과 빨간
기둥
은 기(氣)를 뿜어내거나 빨아들이는 상대적인 개념을 의미하는데, ‘삼국지’에 등장한 돌무더기라고 봐도 무방하다. 즉 8문의 어느 한 곳으로 들어서면 각 돌무더기들의 기가 변화를 일으키면서 구름이나 거센 ... ...
Ⅲ. 마술의 극치, 인체부양술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결정적인 기여를 하지는 않지만, 없어서는 안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술가는
기둥
을 잡고 떠오르는 속도를 조절하거나 부양술을 마친 후 안전하게 테이블에 착석할 수 있다. 이것으로서 인체 부양술을 멋지게 연출한 마술가는 미소를 짓고 무대를 내려온다.마술 공연장을 찾은 관객들은 ... ...
Ⅳ. 카퍼필드의 비밀을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다른 한사람도 침대로 들어간다. 카퍼필드는 침대에 달린 받침대 속으로(침대 받침대의
기둥
은 속이 비어 있다) 두 다리를 집어넣고 웃몸 굽혀펴기 동작과 비슷한 자세를 취한다. 이를 외부에서 본다면 상체만 보이고 하체는 사라진 상태다. 동시에 들어간 사람은 반대로 머리와 상체를 침대 받침대 ... ...
스타트렉의 순간이동장치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타고 우주를 여행하면서 다양한 외계 문명을 접하고 겪게 되는 모험들이 스타트렉의
기둥
줄거리다. 이를 통해 영화는 지구라는 작은 행성에서 종족과 국가의 이익 때문에 화합하지 못하는 인류에게 전우주적인 화합과 공존의 미덕을 호소한다. 그래서 영화는 과학적이고, 드라마틱하면서 또한 매우 ... ...
음악듣고 자라는 식물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지구 중심으로 뻗던 뿌리도 가물면 수분이 있는 위쪽으로도 뻗는다. 덩굴식물은 먼 곳에
기둥
이 될 만한 나무가 있는 것을 알고 그 쪽으로 다가간다. 해바라기는 해가 없는 밤동안에 서쪽에 가 있는 얼굴을 동쪽으로 돌려놓는다. 미모사는 잎을 재빨리 오므려 해충이 놀라 떨어지게 한다.파리지옥은 ... ...
재활용 개인 우주선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붙어있는 것이 바로 TAS를 격납하는 곳이다함교(bridgefin)에 레이더 마스트(돛대 모양의
기둥
)가 있다 수면 가까이 부상해서 마스트를 올려서 물밖에 내어 사용한다 잠수함은 물 속에서 주로 활동하므로 수상함정에 비해 중요성이 크지 않다함교에 있는 ESM은 적이 레이더로 탐지하고자 할 때 이를 미리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