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형
조화
문체의 우아
일치
대칭
병형
균세
d라이브러리
"
균형
"(으)로 총 1,563건 검색되었습니다.
분자로 비휘발성메모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이온을 결합해 고리 모양을 이루는 분자를 만들었다.보통 분자는 전자가 들어와 이온
균형
이 깨지면 불안정해져서 들어온 전자가 곧 다시 나가지만 피리딘 6개로 된 고리분자는 안에 전자가 하나쯤 들어가도 충분히 포용할 수 있는 구조다.이 교수팀의 실험실에는 여느 화학합성 실험실과 비슷하게 ... ...
용궁 긴급회의 바다의 사막화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바다 생태계한꺼번에 많은 생물을 잡거나 풀어 놓는 등의 어업 활동도 생태계의
균형
을 깨뜨린다. 가령 문어처럼 성게를 먹이로 하는 동물을 무분별하게 잡아들이면 성게의 수가 늘어나 결국 성게가 먹이로 삼는 해조류가 줄어든다. 함께 바다에 숲을!"어허~, 정말 보통 일이 아니구려. 우리 바다는 ... ...
지구에서 달까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두 물체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지구와 달 사이의 인력이 어디서
균형
을 이루는지 알기 위해서는 지구와 달의 질량의 비를 알아야 합니다. 지구는 달보다 81배 무거우므로 이를 이용해 계산해 봅시다. 지구에서 달까지 거리의 52분의 47 되는 지점에서 지구와 달의 중력이 완벽한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만든 발전소의 철골구조를 발전소 설치 지점까지 배로 운반하던 중 배가 조류에
균형
을 잃는 바람에 진도대교에 부딪혔고 그 바람에 구조물은 침몰했다.높이 40m, 무게 1000t이 넘는 구조물은 940m나 떠내려가 엉뚱한 곳에 박힌 채로 발견됐다. 두 번의 실패로 공사는 2년이나 늦어졌다. 하지만 그것이 ... ...
보통 사람에 우주의 꿈 씨앗 뿌린 국제우주대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때문에 발목이 조금 아팠다”면서도“정말 신났다”고 밝은 웃음을 띠며 말했다. 비행
균형
감각훈련 장비는 탑승자가 속이 빈 동그란 공 안에 설치된 의자에 앉아 전후좌우를 가리지 않는 회전을 견디는 기구다. 행사장에 설치된 장비는 일반인을 위해 제작한 것으로 회전하는 힘을 약하게 ... ...
'초식남'과 '건어물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나’를 가장 우선으로 생각하는 문화도 확산됐다.양 원장은 “이성 관계는 주고받음의
균형
이 필요하지만 초식남과 건어물녀는 대부분 받기만 원하고 주는 것은 싫어하는 성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가정에서 많은 관심과 사랑을 독차지하고 자란 만큼 타인을 신경 쓰는 게 익숙하지 않기 ... ...
패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동안이나 숲속을 거닐면서도 눈에 띄는 것을 하나도 보지 못할 수가 있나요? 오묘하게
균형
을 이룬 나뭇잎의 생김새를 손끝으로 느끼고, 은빛 자작나무의 부드러운 껍질과 소나무의 거칠고 울퉁불퉁한 껍질을 사랑스럽게 어루만집니다. 꽃송이의 부드러운 결을 만지며 기뻐하고, 그 놀라운 나선형 ... ...
건강을 살리는 소금, 천일염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회사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28~62%의 염화칼륨을 함유하고 있다.그러나 모든 일엔
균형
이 중요하듯, 소금도 어떤 특정 성분만 많이 섭취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칼륨을 많이 함유한 소금도 마찬가지다. 인체는 항상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칼륨을 많이 섭취하면 그만큼 많이 배출해야 한다. 이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많을 때는 전기료를 낮췄다가 발전량이 부족해지면 전기료를 올려 공급과 수요가
균형
을 맞추도록 하는 것이다.물론 신재생에너지는 현재의 발전 방식과 상호 보완해 추진한다는 게 한국과 세계 각국 정부의 일반적인 방침이다. 바람이 세게 불면 석탄이나 석유를 적게 태우고 반대로 바람이 약하게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결과는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공평하다. 가위바위보의 세가지 손모양에 담긴 완벽한
균형
의 정신 때문이다. ‘3’이란 수에는 누구나 강점과 약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절대강자는 없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하지만 가위바위보의 세계에는 엄연히 고수가 존재한다. 가위바위보에 담긴 수학 원리와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