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정
법칙
규범
원칙
법규
원리
규율
d라이브러리
"
규칙
"(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식물과 두뇌의 성장이 유사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연구팀은 다른 식물도 이
규칙
에 따라 성장하는지, 식물과 뉴런이 이와 같은 수학적
규칙
에 따라 자라는 분자 수준의 원리는 무엇인지도 밝힐 계획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7월 6일자에 실렸다.doi:10.1016/j.cub.2017.06.00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말해 머리쪽에서 만들어진 신경능세포가 몸통쪽으로 내려가는 일은 없다는 뜻이죠. 이런
규칙
은 배아의 발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같은 신경능세포지만 머리 부분에 있는 세포와 몸통 부분에 있는 세포는 각기 다른 분화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머리 부분에 위치한 ... ...
Part 2. 갯바위 층층이 사는 생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작은 이빨이 많이 붙어 있다. 물 들어올 때까진 얼음! 중부 조간대중부 조간대는
규칙
적으로 바닷물에 잠겼다가 공기 중에 노출되는 곳이에요. 이곳의 가장 대표 생물은 따개비랍니다. 수많은 따개비 종류 중에서도 전세계적으로 조무래기따개비류와 북방따개비류가 가장 많이 살고 있어요.이곳은 ... ...
[Culture] 치카우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안은 채로 서서히 아래 위로 움직이는 모양이 되었다. 그 아래 위로 움직이는 것이
규칙
적이고 리듬에 맞으니, 아기는 다시 점차 울음을 그쳤다.“머리 앞쪽에 있는 두 개의 빛 반사체의 움직임도 안정화되고 있습니다.”치클은 아기의 두 눈동자를 보고 있었다.“두 빛 반사체를 단백질 외피가 덮고 ... ...
[게임카페] 장애물 피해 폴짝! 런 게임 上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튼튼히 하기 위해서 콘텐츠가 무작위로 등장하도록 해볼 거예요.엔드리스 러너 게임
규칙
과 게임 요소우리가 만들어 볼 런 게임은 ‘엔드리스 러너’예요. 스토리는 다음과 같아요. 지구를 탐사하던 우주선이 고장 나면서 다급하게 외계인이우주선을 탈출 했어요. 이후 우주선은 지구 어딘가에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일반적인 점의 경우 부드럽고 일관된 모양이지만, 악성 흑색종의 경우 들쭉날쭉하고 불
규칙
한 윤곽에 색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 앱은 이런 특징을 이용해 점의 색과 모양을 분석한 뒤 흑색종 가능성을 알려준다. 지난 2015년 4월 ‘유럽피부과학회지’에는 스킨비전이 81%의 정확도로 악성 ... ...
[Info] “협력적 분위기를 만들 묘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전 교수는 진화를 수학의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도록 한 윌리엄 해밀턴의 업적(해밀턴의
규칙
)과, 그의 이론이 제기한 ‘유전자의 눈’ 관점을 집중적으로 소개했다.유전자의 눈 관점은 개체 자신에게 불리한 이타성이 왜 진화적으로 선택됐는지를 설명한다. 유전자가 어느 개체군에 퍼져나갈지 ... ...
할리갈리의 아버지 하임 샤피르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친구들과 보드게임을 하면 좋은 인성을 기를 수 있거든요.게임을 할 때 서로 존중하면서
규칙
에 따라 행동하는 법, 즉 페어플레이를 배울 수 있기 때문이에요. 저는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새로운 보드게임을 또 만들어 볼 계획이니 기대해주세요 ... ...
[Origin] 악의는 왜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수식으로 표현할 방법이 없었다. 이제 프라이스 방정식 덕분에 해밀턴은 해밀턴의
규칙
을 더 간결히 도출하는 지름길을 찾았다. 그뿐만 아니라, 해밀턴은 두 개체 사이의 유전적 근연도가 음수일 수도 있으니 ‘너 죽고 나 죽자’는 악의적 행동도 때로는 자연 선택될 수 있음을 흔쾌히 받아들이게 ... ...
최일규 KAIST 박사 후 연구원 일도 취미도 끝장 본다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저는 그래프이론 중에서도 ‘컬러링’에 관심이 있어요. 그래프의 꼭짓점과 변을
규칙
에 맞게 분할하는 것이죠. 이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문제가 4색 정리예요. 서로 연결된 꼭짓점은 같은 색으로 칠하지 않으려면 최소 몇 가지 색이 필요한지 묻는 문제로, 4색이면 어떤 평면그래프도 칠할 수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