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뭉치
덩이
다발
타래
쌓아올린 더미
솜뭉치
사리
d라이브러리
"
덩어리
"(으)로 총 1,2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
과학동아
l
200103
크기에 따라 새로운 전기적, 광학적, 자기적 성질을 나타낸다. 큰
덩어리
에서 작은
덩어리
로 쪼갬에 따라 물질의 전체 표면적은 급격히 커지게 된다. 이것은 나노물질을 새로운 용도로 활용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만약 물질의 표면에서만 촉매반응이 일어나는 경우라면, 물질의 표면적 증가는 ... ...
고기 익었는지 색깔로 판단하면 큰일
과학동아
l
200103
모양의 햄버거용 고기 역시 다 익으면서 갈색으로 변했다. 하지만 햄버거 고기의 원료를
덩어리
상태로 얼린 뒤 다시 녹여 동그랗게 만들어 구웠을 때는 고기가 익기 전에 이미 갈색으로 변했다. 또 섭씨 57도에서 고기를 요리하고 약 4분간 놓아뒀을 때도 섭씨 71도에서 고기를 요리한 것처럼 ... ...
'블랙홀 진짜 검다' 첫 증거 발견
과학동아
l
200102
분석한 결과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밝혀졌다. 블랙홀 중심으로 빨려드는 뜨거운 가스
덩어리
로부터 나오는 자외선이 중심으로 빨려들수록 갑작스럽게 사라지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미국 나사의 고다드우주센터의 조셉 돌란 박사는 이에 대해“이론적으로 예측되던 바로 ... ...
미르의 사고일지와 태평양 수장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102
급 강하를 하게 되는데, 이때 마찰열로 미르의 동체는 파괴된다. 하지만 일부 튼튼한
덩어리
들은 없어지지 않은 채 지상까지 추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종적으로 추락이 예상되는 곳은 호주에서 동쪽으로 1천5백-2천㎞ 떨어진 남태평양상의 지점이다. 최종 추락시 점은 3월초가 될 것이다 ... ...
알루미늄 포일의 변신
과학동아
l
200102
광물을 찾아 나섰다.번번이 실패를 거듭하는 어느날‘빙정석’이라는 유백색의 유리
덩어리
와 같은 광물을 실험대상으로 한 것이 홀에게 행운을 가져다 주었다. 빙정석을 계속 데워 1천℃에 이르렀을 때 빙정석이 녹기 시작했다. 여기에 소량의 보크사이트를 넣었더니 녹는 것이었다.홀은 이 데워진 ... ...
환자의 뇌를 갈아 질병 원인 규명
과학동아
l
200101
질환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 그는 이를 증명하기 위해 1964년 환자의 뇌를 갈아서 조각난
덩어리
들을 제거한 후 얻은 용액을 실험용 침팬지의 뇌에 접종시켰다. 지금처럼 인권이 중요하게 강조되지 않은 그 당시에는 환자의 뇌를 갈아서 실험용으로 이용하는 ‘끔찍한’ 일도 용납될 수 있었던 것이다 ... ...
고기를 연하게 만들려다 발견된 살균 방법
과학동아
l
200101
충격파를 일으킨다. 이 충격파는 고기를 질기게 만드는 힘줄을 끊어 연하게 만든다. 고기
덩어리
는 부분마다 질긴 정도가 다른데 HDP는 고기 전체를 고르게 연한 상태로 만들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하지만 처음 방법에서는 고기포장과 물을 담은 플라스틱 통까지 파괴됐다. 이에 플라스틱 통 ... ...
7. 사막에 세워진 대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012
2백30.2 4m였다. 대피라미드의 높이는 1백46.60m로 확인됐고 기울기는 51°52′였다. 2.5t의 돌
덩어리
가 2백30만개나 사용됐으며 무게가 거의 7백만t에 달한다.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에 참여했던 수학자 몽즈는 대피라미드의 체적이 2백60만m3나 되며, 이것만 갖고도 프랑스의 국경을 3m의 높이에 0.3m의 ... ...
자연에 깃든 구조의 신비
과학동아
l
200011
때문에 통나무처럼 힘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전체에 분산된다. 또한 통나무처럼 한
덩어리
가 아니라서 부러진 나무 위치와 동일한 부분이 연이어 부러질 가능성도 적다. 그래서 통으로 된 구조보다 여러개가 모여서 이룬 구조가 외부에 힘에 대해 더 잘 견디는 특성을 가진다.이처럼 외부로부터 ... ...
Ⅰ. 청량음료에도 수상업적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011
발표했다. 즉 빛의 에너지가 연속적인 값을 갖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 양자’라는
덩어리
의 정수배가 된다는 것이다(과학동아 10월호 특집 ‘양자역학’ 참조). 플랑크는 양자론에 대한 연구로 1918년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금속에 빛을 비추면 전자가 튀어나오는 현상인 광전효과에는 빛을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