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뉴스] 폐에서 혈액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대표적인 호흡기관인 폐가 혈액도 만든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미국 UC샌프란시스코 약학과 마크 루니 교수팀은 세포 움직임을 시각화 할 수 있는 비디오 현미경으로 쥐의 폐혈관 속 거핵세포(위 사진의 초록색)가 체내 면역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관찰했다. 거핵세포는 적혈구와 백 ... ...
[
과학
뉴스] 생체시계로 루게릭병 비밀 밝힐까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국내
과학
자들이 이런 퇴행성 뇌질환의 비밀을 풀 실마리를 찾아냈다.임정훈 UNIST 생명
과학
과 교수팀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퇴행성 뇌질환과 관련 있는 유전자인 ‘어택신-2(Ataxin-2)’를 분자생물학적인 수준에서 밝혀냈다.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루게릭 병이나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 ...
[
과학
뉴스] 베일에 싸였던 ‘나선형 천체’ 비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나선형 껍질을 가진 천체의 비밀이 밝혀졌다. 대만중앙연구원 천문천체물리연구소 김효선 연구원팀은 주위에 나선형 패턴이 나타나는 독특한 천체인 페가수스자리 LL의 3차원 구조와 그 원인을 ‘네이처 천문학’ 3월호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2006년 처음 세상에 알려진 이 나선형 패턴의 천체는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손지원 한국
과학
기술연구원(KIST) 고온에너지재 료연구센터장은 “나노기술은 현대
과학
의 빌딩블록(건축물을 만드는 벽돌)”이라고 말했다. 저마다 겉모습이 다른 건물들처럼 모양과 쓰임새는 달라도 수많은 연구에서 나노기술을 쓰고 있다는 뜻이다.매일 전세계에서 쏟아져 나오는 나노기술의 ... ...
[Future]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마음에 상처를 입은 아동에게도 로봇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이를 전제로
과학
자들은 장애아동과 상호작용하는 로봇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다. 박성기 KIST 로봇연구단 책임연구원팀은 2014년, 자폐아동의 사회화 훈련을 돕는 로봇 ‘카로’를 개발했다. 아동을 닮은 휴머노이드로, 6~7세 ... ...
[Issue] 개나리와 벚꽃이 동시에… 봄꽃이 미쳤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전국이 ‘꽃풍년’이었습니다. 꽃잎 날리는 벚나무 아래에 개나리가 노란 자태를 뽐내는 모습이 얼마나 아름답던지요. 이런 풍경은 198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절대 볼 수 없던 풍경입니다. 과거에는 개나리가 피고 한 달이 지나야 벚꽃이 피었기 때문입니다. 어쩌다 봄꽃들이 동시다발적으로 개화하 ... ...
[Issue] 내 옷이 만든 재앙 해양 미세섬유의 습격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미세섬유도 마찬가지다. 우리의 관심과 노력만으로도 줄일 수 있다. + 더 읽을거리in
과학
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내가 쓴 화장품이… 해안을 더럽힌다고?’(2016.1)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601N036‘플라스틱, 제대로 알고 버리기’(2012.8)dl.dongascience ...
[Origin] 스페인 유전체조절연구소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모양입니다.) CRG는 아이가 있는 여성 박사후연구원들에게 일정 금액을 후원하는 등 여성
과학
자들이 연구를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CRG는 유전체를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일하고 싶어 하는 연구소라고 해요. 개인적으로는 연구소가 해변에 있는 점도 큰 몫을 하지 않을까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中 문명을 요리한 유리 레시피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지켜볼 수 있는 실험기구와 안경 등이 탄생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사고실험에 머물던
과학
이 급속하게 발전할 수 있었고, 문명의 주도권이 동양에서 서양으로 옮겨갔다.이지섭(director@naturehistory.com)광물 수집가이자 이야기꾼. 현재 희귀광물 3000여 점을 전시하는 ‘민 자연사연구소’를 운영하고 ... ...
[Career] 5G 기술로 자유를 선물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망했다.’ 이번 달 서울공대카페의 주인공인 심병효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의 방에 들어서자마자 이 생각이 머리를 스쳐 지나갔다. 심 교수의 방에 정말 아무것도 없었기 때문이다. 서울공대카페는 올해 1월부터 연구자에게 의미 있는 물건을 소개하고 있는데, 그 물건을 발굴하기가 쉽지만은 않다 ... ...
이전
775
776
777
778
779
780
781
782
7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