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1,526건 검색되었습니다.
무궁화3호
과학동아
l
199910
한편 좁은 나라에 채널이 너무 많지 않느냐 하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저렴하게 채널을
이용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수요는 많을 것이라는 예측이다. 예를 들어 학원가에서 원격 강의도 가능하다는 것.무궁화위성 3호의 위성체를 개발한 곳은 무궁화위성 1, 2호를 개발한 바 있는 록히드 마틴사(社). ... ...
1. 20년 후 한국인 체형
과학동아
l
199910
것이며, 피트는 발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들 모두 30cm 정도의 길이를 의미한다. 신체를
이용
한 용어들이기 때문에 다른 단위보다 아무래도 일반인에게 친숙하게 느껴진다.한국인의 경우 전통적으로 높이나 크기를 표현할 때 자신의 신체구조를 기준으로 삼는 경향이 강하다. 예를 들어 눈을 ... ...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910
1932-), 폴 버그(1926-)와 함께 두번째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1982년에는 DNA 재조합기술을
이용
해 박테리아에 인간의 인슐린 유전자를 집어넣어 세번째 노벨상을 받는게 아닌가 하는 추측을 낳기도 했다.1980년대에 이르러 유전학자들은 인간 유전자지도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23쌍의 염색체 안에 어떤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
과학동아
l
199910
화성을 관측해 그 시차를 잼으로써 화성까지의 거리를 알아냈다. 화성까지의 거리를
이용
해 카시니가 계산한 태양까지의 거리는 실제보다 약 7% 작은 값이었다.영국의 에드먼드 핼리는 금성이 태양면을 지날 때 유럽 각지의 천문대와 멀리 인도의 케이프타운에 관측단을 보내 태양까지의 정확한 ... ...
초고속인터넷
과학동아
l
199910
셈이다. 통신 사업자들은 PC통신 서비스와 제휴해 PC 통신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
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든 것도 이 때문이다. 아울러 빠른 속도가 그다지 필요하지 않은데도 맹목적으로 속도만을 고집하는 네티즌들의 태도도 문제다. 자신의 정보요구와 서비스의 질을 잘 살펴 자신에게 맞는 서비스를 ... ...
세계의 밀레니엄 로봇 퍼레이드
과학동아
l
199909
교토에 있는 무라타 매뉴팩쳐링사에서 개발한 자전거로봇. 3.5g의 초소형 자이로스코프를
이용
해 무게중심을 잡는 것이 로봇기술의 핵심.계단을 오르내리는 중국로봇1992년 중국에서 선보인 로봇으로 6개의 다리를 가졌다. 아직까지 프로그램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알아서 계단을 오르내리는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09
황도 근처를 찍어보면 16등급에서 20등급까지의 어두운 별도 찍어낼 수 있다. CCD카메라를
이용
한 방법의 단점으로는 촬영범위가 좁다는 것이다. 사진 촬영으로 발견할 수 있는 밝은 소행성은 거의 모두 발견돼 새로운 소행성을 찾아내기란 하늘의 별따기지만 이미 발견된 소행성의 궤적을 간단히 ... ...
컴퓨터 화면의 꽃 스크린세이버
과학동아
l
199909
스크린세이버를 쓰는 재미도 괜찮다. 스캐너나 디지털 카메라가 있다면 공짜 프로그램을
이용
해 얼마든지 훌륭한 스크린 세이버를 만들 수 있다. 우선 사진을 스캔하거나 촬영해 컴퓨터 파일로 만든다. 파일은 jpg 포맷으로 저장하는 것이 좋다. 다음 포토오피 파일(members.aol.com/JmPhotoOp3/PhotoOp.exe)을 ... ...
외줄 타는 사람은 왜 긴 막대를 가지고 있을까?
과학동아
l
199909
말이다.또 우주선에서 추진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방향을 바꾸는데도 각운동량 보존이
이용
된다. 물론 이 경우는 아주 미세한 방향 전환에만 쓰인다. 외부의 어떤 힘도 작용하지 않는 우주선 내부에서 바퀴형태의 기계장치인 리액션 휠(reaction wheel)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켜 우주선 전체의 각운동량에 ... ...
③ 동물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
과학동아
l
199909
따르면 미국에서 심장 이식을 필요로 하는 환자 4만여명 가운데 3분의 1이 기증장기를
이용
하기도 전에 사망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 부족분을 채우기 위해 동물의 장기를 활용할 수는 없을까.과학자들이 가장 주목하고 있는 장기이식용 동물은 돼지다. 무엇보다 돼지 장기의 크기는 사람과 비슷하다. ... ...
이전
772
773
774
775
776
777
778
779
7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