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휴대폰 외국에서도 잘 터진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송신과 수신 주파수가 다른 것)의 차이에 따라 듀얼밴드 단말기가 필수적인 경우다.
점
차 확대되고 있는 국제 자동로밍현재 GSM 국가와 자동로밍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는 곳은 없다. SIM카드를 이용한 반자동로밍 서비스만 가능하다. 주파수와 시스템이 달라 DBDM 단말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 ...
인간 배설물 때문에 멸종하는 산호?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급감한 이유는 백두(white pox)라는 병 때문이다. 백두는 산호의 표면 군데군데에 하얀
점
형태로 퍼지는 병이다. 섬유층을 파괴해 뼈대를 드러내게 하는데, 하루 최대 10㎠까지 병이 퍼진다.연구팀은 백두에 걸린 산호에서 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을 탐색했다. 결국 백두를 일으키는 원인인 박테리아 ... ...
PART2 여름 피부 지켜주는 나노 화장품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보유한 대학과 연구소의 과학기술자들에 의한 직접창업이 지배적이며 아직까지 손익분기
점
을 넘긴 회사는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세계 및 국내 나노소재 시장의 빠른 성장과 함께 조만간 순익을 내는 회사가 탄생할 전망이다 ... ...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닮아간다. 8월 하순이 되면 금성은 완전한 반달 모양이 된다. 그리고 9월이 되면 크기가
점점
커지면서 초승달 모양으로 바뀐다.금성의 모양과 크기는 일정한 규칙을 가지면서 변해간다. 이같은 변화는 7월에서부터 시작해 9월말까지 계속된다. 그러므로 대략 10일 정도의 간격으로 계속해서 금성을 ... ...
디지털캠코더와 함께 나도 이제 영화감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최근 선명한 화면과 깨끗한 음질을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캠코더가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으면서 가정의 필수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디지털캠코더의 원리와 조작방법, 그 ... 조작성은 떨어지므로 대략 한손에 들어오는 정도까지 발전할 전망이다. 반대로 화소수는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 ...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생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크게 나눌 수 있다.‘우리가 알고 있는 생명’(life as we know it)에 대한 연구라는 커다란 관
점
으로부터‘있을 수 있는 생명’(lifeas it could be)의 창조까지 그 의미를 크게 확장한 인공생명 연구의 최신 경향을 알아보자 ... ...
하드디스크는 오늘 무엇을 기억하는가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일을 운전자 대신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해주는 것이다. 기억은 이처럼 그 한계
점
을 네트워크 너머로 밀어낸다. 무한 팽창하는 하드디스크와 이를 다스릴 신경세포인 컴퓨팅 파워의 창궐은 더욱 많은 분야에 기억의 복음을 파급한다. 어느새 뇌세포처럼 퍼져 얽히고 얽혀 21세기사회 전체에게 ... ...
롤러코스터처럼 짜릿한 공학설계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재능’을 재단해서는 안됩니다. 그들의 아이디어가 아직은 미숙하고 모자라는
점
이 많지만, 앞으로의 발전가능성을 생각해 최대한 존중해야 합니다.”최교수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공학설계는 공학적으로 가능하고 합리적인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지만, 이와 함께 설계자의 번득이는 아이디어도 ... ...
미생물이 만든 인류의 역사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쓰여진데 비해, 역사학자들이 질병, 환자와 병원, 그리고 의학사에 대해 쓴 책이라는
점
에서 독특하다.1부 ‘인류의 역사를 바꾼 질병’은 인간 역사에서 굵직한 획을 그었던 질병에 대한 내용이다. 전쟁보다 더 참혹한 전염병과 무방비 상태로 병원균에 노출돼 있었던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2부 ... ...
연료전지 실용화하는 얇은 막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수 ng의 변화를 측정하는 나노과학의 기본 도구를 마련했다는
점
에서 의의가 있다.이외에도 전기화학연구실에서 거둔 연구성과는 한두가지가 아니다. 곽주현 교수를 중심으로 자연과학의 입장에서 새로운 문제 풀기에 끊임없이 도전하는 전기화학연구실에는 현재 박사과정생 ... ...
이전
771
772
773
774
775
776
777
778
7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