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케이크에 미친 네 남자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방송된 SBS 의학드라마 ‘외과의사 봉달희’의 보조작가로 활동하며 유명세를 타기
시작
했다. 현재 대한의학회에서 건강정보심의위원회 실무위원을 맡아 잘못된 건강정보를 바로잡는 데도 앞장서고 있다 ... ...
펨토초 레이저로 시시각각 변하는 단백질 찍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다차원분광학은 1990년대 후반에 이론이 제안된 뒤, 2003년에야 실험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
된 최첨단 연구 분야다. 그동안 미국의 펜실베이니아대나 MIT가 다차원분광기를 개발하며 실험연구를 이끌어왔다. 하지만 2008년 2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센터 다차원분광팀이 아시아 최초로 ... ...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IPSAP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어느 정도 자리 잡았다고 판단해 2006년엔 인터넷을 통해 ‘입샙’을 무료로 배포하기
시작
했다. 항공우주공학을 공부하는 학생부터 유한요소법 연구자까지 누구나 ‘입샙’을 내려 받아 사용할 수 있다.“목표는 ‘나스트란’의 자리를 차지하는 겁니다.” ‘나스트란’(NASTRAN)은 1960년대 초 ... ...
[화학]화학결합으로 구성된 물질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내부 전자에너지의 양자화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던데요.보어 : 수소의 선스펙트럼부터
시작
하세. 수소가 내는 빛을 보면 빛이 분리돼 보이던가?광자 : 회절격자라는 얇은 필름을 기체 방전관과 눈 사이에 갖다 댔더니 필름을 통해 멋진 선들의 배합을 볼 수 있었어요. 수소에서는 빨강, 파랑, ... ...
빈 칸 채우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각 칸의 네 방향으로 선을 그을 수 있으며 선이 지나가는 칸의 숫자를 모두 더한 값은
시작
하는 칸에 적힌 수와 같아야 합니다. 표를 참고해 각 선이 겹치지 않게 빈칸을 모두 채워 보세요. 경우의 수가 한가지밖에 없는 칸을 먼저 찾아서 채워나가면 쉽게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A다음 첫번째 표를 ... ...
2012학년도 수능 어떻게 바뀌나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학원 비상 아이비츠(www.ivytz.com)가 2008년 12월 11일 BI 선포식을 갖고 교육사업을
시작
했다. ‘정상을 향한 도전’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비유와상징 양태희 대표를 비롯해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비상 아이비츠는 비상의 우수한 학습콘텐츠를 바탕으로 학습프로그램을 제공할 ... ...
산소화 효소 중간체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발표했고 그 피인용 횟수는 1600회에 이른다. 남 단장은 “연구단의 비상(飛上)은 이제
시작
”이라며 “전 세계 생무기화학 분야를 깜짝 놀라게 할 연구단을 지켜봐 달라”며 포부를 밝혔다.남원우 단장1985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화학 학사1990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화학 박사1990~1991 ... ...
유도다기능줄기세포, 광우병 논란 1위 선정돼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프랑스 국경 지대 지하 100m에 설치된 LHC는 둘레가 27㎞로 사상 최대 실험장비다. 1994년에
시작
돼 80억 달러(약 10조원)가 투입된 가운데 전 세계 과학자 약 1만 명이 참여해 완성한 LHC는 두 개의 입자 빔을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충돌시켜 빅뱅 직후를 재현할 계획이었다. LHC는 우주의 비밀을 풀 ‘신의 ... ...
우주항공구조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00만 년 전 인류가
시작
된 이래 지구상의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60억 명을 넘어섰다. 오늘날 우리에게 지구는 너무 좁은 곳이 됐다. 이제 우리가 발 딛고 있는 땅보다 더 많은 가능성을 가진 하늘과 우주로 눈을 돌려야 할 때다. 이런 발전에 기초가 되는 학문인 우주항공구조공학에 대해 ... ...
2009년 기축년(己丑年), 소를 생각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성공함으로써 우리나라는 동물복제의 메카가 됐다. 지난해에는 애완견 복제를
시작
함으로써 복제 상업화의 막을 올렸다.지난해 초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복제소나 복제돼지를 먹어도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발표해 큰 파문을 일으켰다. 100년에 한 번 나올까말까 하는 형질이 우수한 소가 태어나 ... ...
이전
771
772
773
774
775
776
777
778
7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