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스페셜
"
연구
"(으)로 총 9,97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무리 약 발라도 아물지 않는 염증, 빨리 낫게 할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새로우 상처 치료 방법 단서를 발견한 박성호 UNIST 교수. UNIST 제공 상처를 더 빨리 치료할 새로운 치료 방법이 발견됐다. 만성 염증 환자의 고통을 ... 상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새로운 표적 물질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면역 분야 국제학술지 ‘이뮤니티’ 20일자에 발표됐다 ... ...
당뇨병 합병증, 암 발생 위험 늘리는 세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강조했다. 그는 "쥐 실험을 통해 밝혀낸 과정들이 사람의 체내에서도 일어나는지 추가
연구
할 계획"이라며 "추후 암을 비롯해 여러 당뇨병 합병증 발생 위험을 줄이는 신약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뇌파 보고 수면단계 맞히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지(IEEE 엑세스)' 7월호에 발표됐다.
연구
팀이 개발한 수면단계 구분 AI의 전체 프로세스. 이미지 분석에 활용하는 CNN과 시계열 분석에 활용하는 LSTM 순환신경망을 적용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 ...
임무 끝나면 '사르르'…녹는 군용 소재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지원을 받아 개발됐지만 군사적 용도가 아니라도 잠재력이 있다고
연구
팀은 보고 있다.
연구
팀은 이 소재를 활용해 건축 자재를 임시로 붙였다가 빛을 쪼이면 뗄 수 있는 접착제를 개발했다. 콜 교수는 “제임스 본드 같은 물질이 이미 군사 장치에 통합되고 있다”며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로 ... ...
[기자의 눈]전문
연구
요원제도 존치? 오죽하면 경제논리도 안먹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지지를 받고 성장하는 나무와도 같다. 초강대국 미국도, 중국도 예외는 아니다. 전문
연구
요원제도 폐지와 관련된 논의에서 과학계는 대중 설득에 실패했다. 무엇보다 대중이 이해할 만한 근거를 준비하지 않았으며 국가 경쟁력 강화를 가져오는 인재 확보를 위한 자구 노력도 하지 않았다는 점을 ... ...
화학연·IBS·UNIST·생기원…하반기 과기계 기관장 교체 잇따라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의지가 반영되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내놓고 있다. 4대 과학기술원은 아니지만 이공계
연구
중심대학인 포스텍도 총장이 바뀐다. 현 김도연 총장이 8월 말 4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후임으로 김무환 첨단원자력공학부 교수가 선임됐다 ... ...
낙동강의 ‘소금쟁이’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수변에서 임무를 수행한다.
연구
책임자인 김석구 건설연 통합물관리
연구
센터 선임
연구
위원은 “낙동강에서 연평균 30일가량 발생하던 조류경보 일수를 10일 이내로 낮출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WHO "식수 속 미세플라스틱 위험 수준 아냐" 학계선 추가
연구
필요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라이트 주임
연구
원팀은 크기가 작은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이용한 실험 결과, 이 입자가 장 내막을 통과할 수 있어 미세플라스틱 입자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분석했다. 그는 "미세플라스틱 입자는 장에만 머무는 것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희망 잃은 삶 구할 한줄기 빛 같은 과학
연구
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예측 모바일 평가(MAPS)’
연구
팀을 출범시켰다. 특히 자살이 늘어나는 10대를 중심으로
연구
를 수행하고 있다. 청소년이 특정한 수치 이상으로 분석되면 이를 분석한 임상의가 부모와 의사에게 연락을 취하게 된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자살을 해석하려고 시도하기도 한다. 영국의 저명한 ... ...
[에코리포트]제주 비자림로 확장 논쟁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8.25
맹꽁이)으로, 총 7종이 서식하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특별 생태조사에 참여한 배윤혁
연구
원은 “국내 중 제주에서만 유일하게 발견되는 두점박이사슴벌레는 불빛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종인데, 도로를 만들고 가로등을 설치하면 많은 개체가 불빛에 날아들어 차에 깔려 죽게 될 것”이라며 ... ...
이전
770
771
772
773
774
775
776
777
7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