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유전법칙 체계화와 미셔의 유전물질 탐구에서 그 실마리를 찾기 시작했다. 그후 1백년이
지난
1950년대에 와서 유전물질이 DNA라는 화학물질임을 알아냈다. 1960년 대에 이 DNA의 구조가 밝혀지면서 생체내에서 생명현상을 전달해주는 기본원리를 정립하게 되었다. 또한 같은 시기에 이뤄진 유전물질인 ... ...
486PC 바람이 분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0486칩은 80386칩에 비해 2~4배의 성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세계적으로 보면 PC산업은
지난
90년말부터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 돌입한다. IBM 컴팩 등 세계 굴지의 컴퓨터 회사들이 잇따라 고부가가치 제품의 개발 및 생산으로 돌아서 기존 시장을 지키기 위한 연수를 띄운다.과거와 같이 동일한 ... ...
Frog-And More In Space 우주공간에서의 개구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보다 작은 원을 그리며 다른 올챙이들에 비해 반대방향으로 헤엄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주우주왕복선 엔데버호는 1백55마리의 살아있는 올챙이들과 함께(물론 우주비행사들도) 지구로 무사히 귀환했다. 생물학자들은 이 결과를 오랫동안 연구할 것이지만 아마도 지금까지 나타난 가장 중요한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장벽이 나타날 것이다. 인류는 과연 이 장벽을 새로운 기술로 극복할 수 있을 것인가
지난
20여년간 반도체기술 및 산업은 그야말로 눈부시게 발전해왔다. 그 효과는 특히 컴퓨터기술과 정보산업의 발전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지금 우리는 산업구조 자체가 변혁되고 이에 따라 사회구조가 전반적으로 ... ...
1. 세계각국의 비디오텍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현장에서 보고 사는 것과 별 차이가 없다. 또한 PC통신을 통한 바둑통신 대국도 가능하다.
지난
3월초에는 서울에 있는 유창혁 5단과 전주 중앙동에 있는 이창호 5단이 한국PC 통신의 온라인망을 이용해 프로기전을 통신대국으로 치러 세간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이처럼 삶의 편리함을 더해주는 ... ...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디스크를 중심으로 한 파일 관리에 초점을 맞추어지기 때문에 도스가 나왔다는 사실은
지난
호에 자세히 설명한 바 있다.자기진단이 성공적으로 끝난 후 롬바이오스가 마지막으로 하는 일은 CPU가 컴퓨터를 제대로 운영할 수 있도록 운영체제인 도스 파일을 CPU가 참조할 수 있게 책상(메모리) 위에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아직도 어느 가설에 관해서 뚜렷한 확신이 있는 것은 아니다.
지난
날 우리는 화석을 해석하는 데 많은 잘못을 저질렀다.1670년경 최초로 발견된 공룡의 뼈는 오랜 옛날 살던 거인의 뼈로 오해됐을 정도다. 화석 골격을 복원하는 데도 많은 오류가 있었다. 이구아노돈의 큰 ... ...
3. 64메가 D램 개발 공방 내막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거의 완성하고 생산기술을 연구하는 단계에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이러한 사실은
지난
90년에 이미 히타치가 64메가D램의 핵심기술을 공개한 사실에서도 짐작할 수 있다.그런데 왜 이들이 64메가D램을 개발해놓고도 발표를 미루고 있는가. 그것은 현재 시장에서 유통되는 메모리제품의 수명을 ... ...
과학캠프 교사로 맹활약하는 이화여대 아마추어 천문회 폴라리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그 과거의 모습까지그리고 그 안 우리들의 어렴풋한 위치를 느껴보지 않으시렵니까?"
지난
10월1일 이화여자대학교 아마추어 천문서클인 '폴라리스'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개최한 열한번째 공개관측회의 '모시는 글' 중 일부다.연 이틀밤 대학 캠퍼스에서 계속된 공개관측회에는 지역 주민들, 이웃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입자를 생성하는 가속기와 이 입자들을 볼 수 있게 하는 검출기의 두부분으로 이뤄진다.
지난
수십년간 입자가속기의 발전은 실로 괄목할만 하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검출기의 발전이 없었다면 입자물리학의 오늘날과 같은 성공은 기대할 수 없었을 것이다.검출기의 기술에는 크게 두번의 획기적인 ... ...
이전
769
770
771
772
773
774
775
776
7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