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1,526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은 왜 완전한 도형인가
과학동아
l
200001
849년 브라베(Auguste Bγavais)는 결정의 구조를 분류하기 위해서 3차원 공간에서의 대칭군을
이용
했는데, 이것은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군에 대한 수학적 이론과 결정학 사이에 밀접한 관계를 확립했다. 원자의 대칭, 소립자의 상호작용 등도 모두 군과 관계가 있다. 이와 같이 군의 예는 수학뿐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01
섞이기 때문에 바로 전체가 연한 색깔을 띠게 된다.용액의 농도가 다른 설탕물 용액을
이용
하면 무지개 물탑도 만들 수 있다. 이때 식용유를 먼저 넣은 상태에서 밀도가 큰 용액부터 떨어뜨리면 용액이 천천히 떨어져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순서대로 물탑이 만들어진다. 설탕 이외에 물에 잘 녹는 ... ...
21세기 컨셉트 창조하는 산업디자인
과학동아
l
200001
핵심은 얼마나 인간친화적인가 하는점,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자주
이용
해도 질리지 않고 편안하며,정서적으로도 호감을 갖게 하는것.산업디자인이 종합학문이라고 함은 이를 두고 하는 말이다. 전인교육을 추구하는 KAIST 산업디자인학과KAIST 산업디자인하고가는 여타의 ... ...
Ⅱ. 체질인류학/신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01
한편 기후에 적응해온 체질적 특성 역시 우리가 어디로부터 왔는지를 설명하는 자료로
이용
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종합해보면 한국인은 추위에 대해 비교적 잘 견디고 있다. 이 특성과 유전적 요인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한국인의 시작이 북반구의 바이칼 호수 근처가 아니었느냐’는 ... ...
인터넷 신화 일군 야후!
과학동아
l
200001
디렉토리 버튼에 야후가 곧바로 연결돼 있어, 넷스케이프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야후
이용
자로 넘어올 수 있었다. 마치 마이크로소프트가 1980년대 초 IBM PC의 운영체제로 채택됨으로써 힘들이지 않고 업계 표준이 된 것처럼. 그러나 1996년 겨울 넷스케이프는 “인터넷 디렉토리 버튼을 더 이상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01
보면 지면에 발을 굳건하게 내린 거인의 형상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산업소재인 강철을
이용
한 이 탑은 17세기 베르니니가 로마의 나보나 광장에 세웠던 분수조각인 ‘네 강의 원천’의 기본구조를 참조한 것이었다. 이탈리아 바로크 고전주의의 거장인 베르니니는 신화적 인물로 의인화한 나일, ... ...
재미있는 공룡족보
과학동아
l
200001
특징은 머리뼈 뒤에 발달한 프릴이다. 이빨이 없는 앞 주둥이는 질긴 식물을 뜯는데
이용
됐고 칼날 같은 입 안쪽의 이빨이 이들을 잘게 잘랐다. 긴 다리를 가진 지타코사우루스와 같은 초기 뿔공룡은 두발로 걸었으나 진화하면서 사족보행으로 바뀐다. 뿔의 형태에 따라 프로토케라톱스, ... ...
Ⅲ. 미래형 신분증 DNA칩
과학동아
l
199912
용의자 확인에 사용미국 국립보건원의 인체게놈연구소는 DNA칩에 붙인 인간게놈정보를
이용
해 침팬지나 고릴라 같은 유인원의 게놈을 분석하고 있다. 기존에 밝혀진 인간 유전자를 칩에 붙인 후 유인원의 게놈을 반응시키면 양자 간의 같은 종류와 다른 종류가 짧은 시간 안에 분석될 수 있다. 이 ... ...
21세기 이동통신 IMT-2000
과학동아
l
199912
2001년 첫 아침에는 휴대폰으로 고향에 있는 친척들과 화상전화를 할지 모른다. 빠르면 2001년 상용될 것으로 보이는 IMT-2000 덕분이다. 길을 걸으며 인터넷을 ... 원래의 신호를 재생한다. 따라서 같은 시간을 여러명이
이용
할 수 없는 TDMA에 비해 많은 사람들이
이용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12
잴 수 있는 별의 거리는 약 3백광년 이내이다.백조자리 61번별은 처음으로 연주시차를
이용
해 거리를 잰 별로 유명하다. 1838년 독일의 천문학자 베셀은 40m 앞에 있는 한 올의 머리카락 두께를 구분할 수 있을 만큼 정밀하게 이 별의 시차를 재 거리를 알아내는데 성공했다.실험 2 - ... ...
이전
766
767
768
769
770
771
772
773
7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