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자연 과학"(으)로 총 9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2016.11.23
- 남아 있다. 흥미롭게도 그 가운데 반 이상이 과학책이다. 그럼에도 한글로 번역된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책은 없었다. 그런데 지난해 이 무렵 김진성이라는 철학자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 소론집’을 번역해 내놓았다. 역자 소개를 보니 ‘자연학’을 옮기고 있다고 한다. 지난 여름 한 책을 ... ...
- 자연 속에서 살아있는 과학을 체험하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11.17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
- 성인병의 주범? 소금에 대한 오해와 진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11.17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혈관에 상대적으로 혈액 양이 늘어나면서 압력이 높아진다. 하지만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일시적일 뿐 소금이 고혈압의 유병률을 높인다고는 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또 소금을 많이 먹은 집단과 ...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2016.11.14
- 절묘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진화의 결과다. 이런 자연의 생활을 벗어나 요즘 사람들은 가까운 거리에 ... 노안이 인간이 자손을 가장 많이 보기 위한 자연선택 과정에서 변수가 될 수 없었기 때문일 ...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어떻게 개가 ... ...
- 표범의 추억2016.11.08
- 왕복하는 표범을 관찰한 결과다. 당시 로댕은 젊은 릴케에게 “자연 앞에서 화가나 조각가처럼 냉혹할 정도로 사물을 파악하고 모사하려는 ... 표범이 빠져 좀 섭섭했던 기억이 난다. (이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과학카페 145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은 사자?’ 참조) 그런데 얼마 뒤 우연히 ... ...
- 똑똑한 인간들이 왜 미신에 빠지는 걸까?2016.11.01
- 점성술, 알 수 없는 미래를 내다볼 수 있다는 신통력, 또는 유령 등의 초자연적 현상의 존재를 믿는다고 한다. 또한 죽은 사람의 영혼과 대화를 나누는 ... 9, 197-205.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2016.10.25
- 완전히 도덕적이었던 적도 없다. 순수한 상태는 자연의 방식이 아니다. - 프란스 드 발, ‘내 안의 ... 성생활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개방돼 있어서 자연다큐멘터리를 찍을 수 없을 정도다. TV에서 ... 게다가 인간은 워낙 머리가 좋게 진화하다보니 과학기술이 발전했고 그 결과 조직의 규모와 ... ...
- 독서의 계절 가을, 독서 문외한을 위한 안내서2016.10.21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서점, 북카페, 뮤지엄 등이 밀집해있다. 책뿐 아니라 멋진 건축물이 자연과 어우러져 산책 코스로도 그만이다. 출판단지의 핫 플레이스는 아시아출판문화정보센터 1층에 위치한 '지혜의 숲'. 바닥부터 ...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전자 조작’모기 풀어 모기 잡는다동아사이언스 l2016.10.16
- 사이언스는 이번 호에서 모기 퇴치를 위한 과학자들의 노력을 특집 기사로 소개했다. 현재 모기 ... 피피엔티스에 감염된 모기를 실험실에 기른 뒤 자연에 풀어, 지카 바이러스와 댕기 바이러스에 ... 모기 개체 수를 늘릴 계획이다. 네이처 제공 과학저널 ‘네이처’는 10월 13일자 표지로 ...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2016.09.26
- 배출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5억4000만 헥타르에 이르는 경작지를 자연으로 돌려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육류소비가 크게 줄므로). 얼핏 ...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2014)가 있고, 옮긴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