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뉴스
"
DNA
"(으)로 총 2,121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제공 얀센 백신 100만 명 분, 예비군·민방위 대원 접종…다음달 10일 접종 개시
동아사이언스
l
2021.05.30
같은 질병은 일으키지 않도록 아데노바이러스를 조작해 변형한 뒤 내부에 이중가닥
DNA
로 항체를 생성할 수 있는 항원 유전자를 집어 넣는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침팬지의 아데노바이러스(ChAdOx1)를 이용한 반면 얀센 백신은 아데노바이러스26(Ad26)을 이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얀센 백신은 ... ...
아스트라제네카·얀센 백신 희귀 혈전증 해결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8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원
DNA
일부가 떨어져 나갈 수 있다. 떨어져 나간 코로나19 바이러스
DNA
조각은 숙주(인간)의 세포핵에 제대로 결합하지 못한 채 체내에 떠다니며 변이를 일으켜 혈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또 이같은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백신을 재설계할 수 있다고 밝혔다. ... ...
서울과 뉴욕 같은 도시들은 각각 고유한 미생물이 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8
미생물을 수집하고 데이터를 쌓아 공유하면 더 큰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며 “미생물
DNA
로 분석한 만큼 인체와 환경에 주는 영향은 살아있는 미생물 연구에서 보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코로나 백신 전쟁의 스타는 제약사 아니라 생명공학기업
2021.05.27
지적했다. 이들 3종은 비복제 벡터를 사용한다. 제넥신과 진원생명과학이 개발 중인
DNA
백신도 상용화된 전례가 없어 개발되면 세계 최초다. 안 교수는 “풍토성 감염병에 대한 자구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라도 백신 국산화는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 교수는 과학적 사실을 토대로 효능과 안전성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김민경·소순애 석박사통합과정생, SPIE 광공학 장학금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난치성 뇌전증은 뇌 신경세포 돌연변이로 발생하는데 뇌혈관 장벽에 막혀 돌연변이
DNA
가 혈장에서 검출되지 않아 원인을 찾기 어려웠다. 뇌척수액에서 돌연변이를 찾울 수 있게 되면서 척추 주사만으로 돌연변이를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신경학회보’에 ... ...
삼성바이오 위탁생산하는 모더나 백신 핵심 mRNA 기술 왜 확보 어렵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5.23
큰 차이가 난다. ‘mRNA 백신기술’을 이용하면 그만큼 감염병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DNA
백신과 달리 유전체에 삽입이 일어날 위험도 없다. mRNA 백신 아이디어는 거의 30년 전 나왔지만 최근 생명과학과 유전자 관련기술의 발전으로 mRNA 백신의 개발 속도가 빨라졌다. 영국 아스트라제네카나 ... ...
[과기원은 지금] UNIST,
DNA
복제 스트레스 해소 돕는 단백질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21
분열 중 발생하는
DNA
복제 스트레스 해소를 돕는 ‘NSFM’ 단백질을 찾았다고 20일 밝혔다.
DNA
복제 스트레스는 복제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복제가 멈추는 현상이다. 특히 복제 스트레스에도 끄떡 않는 암세포에서 NSMF가 많이 발견돼 암세포를 죽이는 원리로 활용되리란 기대다. 연구결과는 ... ...
연구 논문의 미래 영향력, AI로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1
논문 중 영향력 상위 5%에 포함될 유망논문 50편을 예측한 것이다. 암 치료용
DNA
나노로봇, 심층신경망을 이용한 화학 합성법 등이 유망 연구로 꼽혔다. 201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박사후연구원이던 박지환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교수가 1저자로 참여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 ...
찰스 다윈의 '인간 유래와 성 선택' 150주년, 현대 과학이 평가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1
인간에 가까운 존재로 지목했을뿐 연결고리는 찾지 못했다. 현대 생물학은 인간이
DNA
의 96%를 유인원과 공유하는 것을 확인했다. 600만~800만 년 전 인류와 유인원의 마지막 공통 조상이 있었고 그뒤 현생 인류로 진화가 이뤄지며 다른 생물처럼 종이 세분화하며 발달해 나갔다는 것도 확인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언론 왜곡으로 잊혀진 페니실린 탄생의 진짜 주역들
2021.05.20
록펠러대에서 우연히 세균학자 오즈월드 에이버리를 만나, 훗날 에이버리가 유전물질이
DNA
임을 밝히기 위해 사용했던 폐렴구균과 관련된 연구를 함께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듀보스는 토양미생물에서 폐렴구균의 다당류 코팅을 벗기는 물질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 물질이 최초의 항생제인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