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파
발견
발각
탄로
적발
뉴스
"
탐지
"(으)로 총 80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
2014.10.20
상태를 진단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암이나 심장질환, 전염병 등 다양한 질병을
탐지
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바이오기술은 물론 초미세 공정을 만드는 나노 기술과, 생체 특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는 전자공학 ... ...
해파리도 수학으로 먹이 찾는다
2014.09.22
가장 많이 몰려 있는 지점과 먼 거리의 먹이로부터 풍겨오는 냄새가 가장 강한 지점을
탐지
하는 능력이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레비 워크의 개념을 기존보다 훨씬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세상에서 가장 가는 ‘금바늘’
2014.08.27
찾아냈다. 또 낯선 쥐를 우리안에 집어 넣자 쥐의 뇌신경이 과민반응을 보이는 현상도
탐지
하는데도 성공했다. 김 교수는 “뇌 신경세포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단일 신경세포로부터의 신호를 높은 감도로 포착할 수 있었다”며 “정밀한 뇌신경 3차원 지도 작성에 유용할 뿐 아니라 치매, ... ...
올리브오일로 나노입자 만든다
2014.08.26
‘사이언티픽 리포트’ 26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금 나노입자는 촉매나 화학물질
탐지
센서 등으로 이용되며 지금까지는 고체 기판 위에서 증착기법을 통해 제작됐다. 하지만 이 방법을 통해서는 만들 수 있는 입자 수가 제한적이고 고체기판이 꼭 있어야 해 활용에 한계가 있었다. ... ...
전자코만 있으면 사망 시각 추적 ‘OK’
과학동아
l
2014.07.01
발행하는 ‘켐플러스켐’ 6월호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재난 현장에서
탐지
견들이 실종자를 찾는 데 냄새를 활용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실제로 돼지 사체가 부패할 때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을 측정해 다양한 방향족 성분과 알코올, 질소 화합물 등의 양을 분석했다. 이들의 조합과 ... ...
벽 뒤에 숨어도 다 보인다구!
과학동아
l
2014.06.30
’이라는 전파기술을 채용해 벽 뒤에 숨어 있는 목표물을 수cm 이내의 오차 범위 안에서
탐지
할 수 있도록 했다. 오 연구원은 “세계적으로 투과형 레이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초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벽 투과형 레이더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라면서 “이르면 3년 안에 상용화가 가능할 ... ...
[채널A] 첨단 수중음파
탐지
기 투입…희생자 시신 찾아낼까
채널A
l
2014.05.07
확대하기로 한 겁니다. 또 첨단 수중 음파
탐지
기도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음파
탐지
기는 지난 1일 사고 해역 인근 해저에서 세월호에서 유실된 것으로 추정되는 쇠파이프 수십 개를 찾아내기도 했습니다. 최동림 / 한국해양과학연구원 박사 파이프 형태의 유실물들을 확인을 했습니다. ... ...
집에서 프린터로 질병 진단 칩 인쇄~ 끝!
과학동아
l
2014.04.22
인쇄할 수 있는 ‘종이 전자칩’을 개발했다. 이를 응용하면 병원균이나 오염물질을
탐지
할 수 있는 키트를 집에 있는 프린터로 만들 수 있게 된다. 서강대 화학과 신관우, 권오선 교수팀은 충남대, 한국원자력연구원과 공동으로 전기로 작동하는 종이 전자칩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 ...
[채널A] 세월호 수색작업에 수중 무인잠수정까지 동원했지만…
채널A
l
2014.04.22
수 있고요. 잘 반사시키는 물체의 경우에는 형태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음파
탐지
장비가 동원되더라도 선체 내부에서의 실종자를 찾는데 큰 도움이 될지는 의문입니다. 각종 부유물 등 물체가 많은 상황에서 실종자만을 가려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 ...
[채널A] ‘블랙박스 탐색전’ 누가 이길까? 나라의 자존심 건 수색
채널A
l
2014.04.10
자연음파와 인공음파를 구별하는 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현재 인류의 음파
탐지
기술은 수천 미터 밖의 고래 소리도 인지할 정도로 발달했습니다. 그러나 난관도 많습니다. [인터뷰 : 변성훈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선임연구원] 바닷물의 굴절 등으로 신호 특성이 수시로 바뀌는데, 이런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