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3,978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지하 1000m 실험실에서 우주기원 밝힐 '유령' 찾는다
과학동아
l
2022.11.12
방기문 연구위원이 한 말이 주마등처럼 떠올랐다. 비상시에 정전이 되면 지하는 불
빛
하나 없이 암흑이 될 터다. 방 연구위원은 “그 경우 케이지가 운행하지 않으니 꼬불꼬불한 램프웨이를 따라 6km 걸어 올라오면 된다”며 “운동이 필요해서 걸어 올라오겠다고 하면 말리진 않겠다”고 너털웃음을 ... ...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 '페로브스카이트' 상용화, 한국이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1
그동안 학계에서 보고된 수치를 모두 넘어섰다. 외부양자효율이란 발광 소자에서 나온
빛
알갱이(광자)의 개수를 투입한 전기 전하의 개수로 나눈 비율을 의미한다. 소모되는 전력 효율과 관련이 있다. 상용화를 위해선 최소 20% 이상의 효율이 나와야 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밝기와 수명이 모두 ... ...
가려진 붉은 달 옆으로 고개 내민 천왕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1.09
색깔이 붉게 보이는데 이는 태양
빛
이 지구대기를 통과할 때 파란
빛
은 산란되고 붉은
빛
만 통과해 달을 비추기 때문이다. 천왕성 엄폐는 다른 천체가 천왕성을 가리는 현상을 말한다. 달에 의한 엄폐 현상은 행성 하나당 2년에 한 번꼴로 일어나지만 관측 가능 지역이 넓지 않고 낮에 일어나는 ... ...
8일 저녁 개기월식·천왕성 엄폐 동시에...놓치면 200년 뒤에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색깔이 붉게 보이는데 이는 태양
빛
이 지구대기를 통과할 때 파란
빛
은 산란되고 붉은
빛
만 통과해 달을 비추기 때문이다. 천문학적으로 '엄폐(Occultation)'는 멀리 있는 천체가 가까이 있는 천체에 가려지는 현상을 말한다. 달에 의한 엄폐 현상은 행성 하나당 2년에 한 번꼴로 일어나지만 관측 가능 ... ...
우리은하에서 가장 오래된 백색왜성 발견..."107억년 된 붉은별"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오염돼 있었다. 연구팀은 이 백색왜성의 표면 온도가 낮지만 헬륨과 수소로 인해 파란
빛
을 띤다고 분석했다. 아비가일 엘름스 워릭대 물리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모든 별의 97%는 백색왜성이 될 것"이라며 "우리은하에서 가장 오래된 별인 백색왜성은 행성계의 형성과 진화에 대한 정보를 ... ...
아이폰, 해안선 침식 연구에 '최적'...라이다 스캐너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인식하는 기술이다. 사물을 탐지하는 기존 장비인 레이다(RADAR)가 전파를 쏘는 것과 달리
빛
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폭과 높낮이 정보까지 측정해 대상을 더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어 자율주행차에서도 활용된다. 뢰첸부르그 교수 연구팀은 라이다 스캐너가 탑재된 아이폰이 촬영한 해안선 사진에 ... ...
바늘보다 얇게, 머리카락만큼 가늘게…초미세 내시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발표했다. 주사 바늘(약 500μm)보다도 가는 두께다. 광섬유 다발 중 하나의 광섬유에
빛
을 집속시켜 반사하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인 내시경과 달리 렌즈가 필요하지 않아 두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 ...
우주에 거미줄처럼 펼쳐진 죽은 별 잔해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OmegaCAM)'으로 이미지를 관측했다. 2억6800만 화소를 가진 이 카메라는 다양한 색상의
빛
을 통과시키는 필터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빨간색, 파란색, 녹색, 자홍색(마젠타색)으로 각각 이미지를 얻어 합성했다. ESO는 "7년이 넘는 기간 동안 우리은하의 상당부분을 관측했다"며 "천문학자들이 별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후 6시까지 먹는 시간제한 섭식이 좋은 이유
2022.11.01
알고 있던 두 가지 광수용체세포인 막대세포와 원뿔세포 외에 또 다른 세포가 있어
빛
을 감지해 그 정보를 뇌의 시각피질이 아니라 일주리듬 조절영역으로 보낸다고 추측했다. 그 결과 유전자 결함으로 막대세포와 원뿔세포가 없어 보지 못하는 생쥐도 여전히 낮에 자고 밤에 돌아다니는 야행성을 ... ...
세 가지 정보 동시에 보는 '메타 디스플레이' 개발…'맞춤형 VR 수업'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세 개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에 성공했다. 노준석 교수는 “근거리장과 원거리장의
빛
을 동시에 조절하지 못했던 기존 메타표면의 한계를 뛰어넘은 성과”라며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보안 장치나 교수와 학생이 각각 다른 화면을 볼 수 있는 맞춤형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