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뉴스
"
보자
"(으)로 총 905건 검색되었습니다.
[중력파 검출 파문] 빅뱅 증거 찾았다더니 다시보니 ‘우주먼지’
2015.02.02
가능성이 더 크다는 지적이었다. 문제 제기 이후 미국과 유럽은 ‘함께 검증해
보자
’며 공동으로 연구팀을 꾸리고 다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당시 데이터 해석이 잘못됐으며, 중력파의 흔적으로 볼 만한 근거가 없다는 내용의 논문을 이번에 다시 발표한 것이다. 원인은 유럽 연구팀의 ... ...
양자역학 없는 세상
2015.02.01
페르미입자는 하나의 양자상태에 하나의 입자만 들어갈 수 있다. 자, 내가 전자라고 해
보자
. 양자역학적으로 방에서 초속 0.5m나 1m로 움직이는 것은 허용되지만, 다른 속도는 안 된다. 내가 초속 0.5m로 움직일 때 다른 사람이 들어왔다면 그 사람은 반드시 초속 1m로 움직여야 한다. 이제 이 방에는 ... ...
허니버터칩 왜 맛있는 거야?
과학동아
l
2015.01.30
허니버터칩도 감자칩이다. 그런데 달다. 아카시아꿀과 설탕, 결정과당을 사용해 단맛을 낸다. 대신 보통 감자칩보다 덜 짜다. 일반 감자칩은 과자 100g당 소금의 양 ... 뜻이다. 허니버터칩이 부럽다면 주말 오후에 앞치마를 메고 자신만의 재료들을 조합해
보자
. 단 성공은 보장하지 않는다 ... ...
[우먼 동아일보] 허니버터칩~ 먹어
보자
!
동아일보
l
2015.01.30
[동아닷컴] 건국 이후 최초 품귀 현상을 빚으며 레전드 감자칩으로 등극한 허니버터칩. 구하기 힘들면 만들어 먹자. 지난 한 달 동안 대한민국에서 가장 핫한 아이템은 반짝반짝 빛나는 크리스마스 리미티드 아이템도, 직장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드라마 ‘미생’도 아닌 허니버터칩이었다. 연 ... ...
[동아쟁론]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 운전 연장
동아일보
l
2015.01.30
90%를 웃돈다. 중수로는 답보상태로 발전단가가 오히려 경수로에 역전됐다. 부지 측면을
보자
. 일반 경수로는 약 600m 거리 바깥에 주민 거주를 허용한다. 중수로는 이 거리가 1km에 육박함에도 발전용량이 작아 면적당 발전효율이 경수로의 5분의 1에 불과하다. 중수로는 건설비 절감을 위해 격납건물에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사람과는 전혀 닮지도 않은 로보비에 이처럼 애착을 보이는 것일까. 노인들의 대답을
보자
. 먼저 로봇은 말대꾸를 하지 않는다. 어쩌다 한 번 찾아오는 손자손녀들은 말도 잘 안 할 뿐 아니라 버릇도 없는데 로보비와 대화를 하면 울적했던 기분도 사라진다고. 치매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 ...
선체 함몰-기운 정도 3D 구현… 세월호 인양 여부 최종 판단
동아일보
l
2015.01.26
군의 부모 등 실종자 가족 네 명에 대해 조사현장을 개방했다. 실종자 가족들은 바지선을
보자
오열했다. 챙겨 온 과자와 음료를 바다에 뿌리며 “아빠 왔다. 많이 춥지” “(아들아) 보고 싶다”고 소리쳤다. 진도=김준일 기자 jikim@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2015.01.25
기원’이라는 논문이 실렸다. 자세한 내용은 이 글의 수준을 벗어나니 결과만 요약해
보자
. 이중슬릿 실험에서 입자가 어느 구멍을 지났는지 알려면, 앞서 이야기했듯이 구멍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파장의 빛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면 충돌하는 빛(광자)의 운동량이 충분히 커서 입자를 교란하게 ... ...
뜨개질 도와주는 수학
2015.01.21
눈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 일종의 바늘 지도다. 이 모델을 보면서 뜨개질을 하면, 초
보자
도 어렵지 않게 복잡한 입체 구조를 뜨개질 할 수 있다. ● 정사각형 여러 개로 직사각형 만들기 크기가 다른 정사각형 여러 개로 하나의 직사각형을 만드는 방법으로 패턴을 디자인할 수도 있다. 실의 ...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
2015.01.18
나올지 그 확률은 알 수 있다. 이것이 양자역학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예측이다. 정리해
보자
. 측정하는 행위가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때문에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아는 것이 불가능하다. 위치와 운동량을 모르면 뉴턴역학에 따라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확률을 쓸 수밖에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