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랩뮤직
lap
어학 실습실
wrap
lab
연구실
연구소
뉴스
"
랩
"(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 6월호] ‘인체 플랫폼’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6.05.27
재료로 전극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휴 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
랩
교수는 전류를 흘리면 딱딱해지고 전류를 끊으면 종이처럼 유연해지는 인공 피부를 이용해 환자 맞춤형 의족을 개발했다. ‘21세기형 프랑켄슈타인’ 기술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 6월호에서 ... ...
방글라데시중앙은행 해킹 ‘남의 일’ 아니다…‘KB국민은행’ 스위프트 코드 발견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05.19
조사와 점검을 진행했다”며 “관련피해는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이슈메이커스
랩
제공 베트남 티엔퐁 은행 해킹 시도에는 스위프트 메시지 시스템을 조작해 지난 2월 방글라데시 중앙은행의 뉴욕연방준비은행 계좌에서 8100만 달러라는 돈을 빼간 해킹과 비슷한 수법을 사용한 것으로 ... ...
손가락 장애 어린이 ‘맥스’, 로봇팔 만들어 ‘하이파이브!’
2016.05.19
모바일 버전이 처음으로 공개되기도 했습니다. 스크래치를 처음 만든 MIT 미디어
랩
의 카시아 크미에린스키 프로덕트 리드가 직접 참석해 아이들과 레고를 이용한 스크래치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크게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이날 스크래치는 큼직한 변신을 했습니다. ‘스크래치 블록’이라고 ... ...
즐거움을 만드는 과학! 한국과학기술원 원더
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13
과학자들은 왜 과학을 연구할까요? 많은 과학자들이 더 편리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연구를 할 거예요. 그런데 이번에 찾아간 연구실은 좀 더 특별한 것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모여 있었어요. ... 꿈꾼다면 즐거운 과학에 한번 도전해 보는 건 어떨까요? 도움| 한국과학기술원 원더
랩
...
더 짧게… 더 알차게… 모바일 웹콘텐츠 ‘1분의 미학’
동아일보
l
2016.05.11
콘텐츠 제작사 ‘72초TV’가 만든 2∼4분짜리 ‘초 웹드라마’가 등장해 인기를 끌었다.
랩
을 떠올리는 리듬감 있는 짧은 대사에 기승전결이 명확한 에피소드를 넣어 볼 맛을 살렸다. 72초TV 관계자는 “짧은 콘텐츠를 선호하는 (모바일)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 음악에 이야기를 맞추는 뮤직비디오 ... ...
‘과학 토크 오디션’ 보러 오세요
2016.05.02
열린다. 초중고 학생들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며 시니어챗 우승자에게는 페임
랩
최우수상 수상자와 동일 특전을 제공한다. 이번 본선대회는 MBC를 통해 전국으로 방송될 예정이다. ... ...
“한국형 ‘우주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도울 것”
2016.04.28
검토 중이다. 그는 “우주재단 본사에서는 4만 명가량의 학생들을 교육하는 ‘티칭
랩
’을 운영하고 있고, 콜로라도대 등과 함께 우주 전문 교사 양성을 위한 석사 과정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며 “한국 우주과학 교육의 저변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한국과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이어나갈 ... ...
염색체 움직임으로 유전질환 有無 확인
2016.04.25
세포에서 염색체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기술을 나타낸 개념도. - 충남대 제공 다운증후군, 터너증후군 등은 정자나 난자와 같은 생식세 ... 치료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융합기술 관련 학술지 ‘
랩
온어 칩’ 21일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
투명
랩
만큼 얇다, 손등에 딱 붙는 초박막 전자피부 개발
2016.04.18
교수팀이 개발한 초박막 전자피부 디스플레이. - 일본 도쿄대 제공 손등에 주방용
랩
보다 얇은 투명한 막을 붙였을 뿐인데, 잠시 후 그 위에 숫자가 표시된다. 중지 안쪽에 붙어 있는 전자피부 센서가 혈중 산소량을 탐지한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일본 연구진이 최근 개발한 초박막 전자피부 ‘e-스킨 ... ...
‘RC카’ 조종하듯 세포 소기관 조종하는 기술 개발
2016.04.17
청색 빛에 반응하는 식물의 청색광 수용단백질에 세포 소기관의 생체막에 존재하는 ‘
랩
단백질’을 결합시킨 융합단백질을 만들었다. 이 융합단백질을 실험동물의 암세포와 신경세포에 발현시킨 뒤 청색 빛을 비추자, ‘엔도좀’ ‘엑소좀’ ‘리소좀’ 등 세포내 물질 대사와 수송에 관여하는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