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DNA"(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가 제안한 실험을 진짜 우주에서?!과학동아 l2011년 11호
- snu.ac.kr)에서 받아 작성한 후 이메일(ssam1029@snu.ac.kr)로 신청한다. 수시접수 한다.동식물 DNA추출과 세포분열 관찰, 표준용액의 제조와 산·염기 적정 등 토의, 실습 중심의 생명과학 관련 활동을 할 수 있다. 소정의 교육 시간을 이수하면 수료증도 발급된다. 생명과학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참여해보자 ...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과학동아 l2011년 11호
- 키나아제(TK)’라는 효소를 많이 만든다. 암세포 뿐 아니라 백시니아 바이러스도 DNA를 합성할 때 이 효소를 쓴다.우리는 이 점에 주목했다. 암세포의 TK 효소를 뺏어 쓰는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만들기로 한 것이다. 방법은 간단하다. 바이러스의 TK 유전자를 없애기만 하면 된다. TK 효소가 없는 ... ...
- 유산균 5형제, 면역세포 길들이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관찰하기 위해서는 우선 세포를 배양해야 한다.] [➊ 한 연구원이 세포에서 추출한 DNA를 젤에 걸고 있다. ➋ 면역조절 연구실에서는 세포 수준을 넘어 실제 개체에서 어떤 면역반응이 일어나는지를 연구한다. 이때 쥐를 모델로 쓴다.]유산균으로 염증을 치료한다고?면역조절 연구실은 우리 몸의 ...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먹고, 더 많은 바이오연료를 만들어 내는 플랑크톤을 찾고 있어요. DNA 조작을 통해 스마트 플랑크톤을 만드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답니다.-오희목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환경바이오 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잠깐! 고래 똥이 이산화탄소 해결사?고래 똥이 이산화탄소 문제를 해결해 ...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넣은 상태에서 반응을 시켰다.그 결과 여기서도 아미노산이 만들어졌을 뿐 아니라 DNA나 RNA 같은 핵산의 염기인 아데닌도 합성됐다. 그 뒤 조건을 바꿔가며 진행된 실험에서 나머지 염기인 구아닌, 시토신, 티민도 발견됐다. 중요한 생체분자 대부분을 단순한 화학반응으로도 얻을 수 있다는 말이다. ... ...
- 황당맨의 취재수첩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뒤 다시 비소와 섞었다. 연구팀은 이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해 비소와 가장 잘 결합하는 DNA 앱타머를 8개 찾아냈다.비소를 제거할 때는 이들을 적당히 섞어서 사용한다. 비소와 결합하는 능력이 가장 뛰어난 8개를 골랐지만, 각각은 온도 같은 환경에 따라 성질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 ...
- 새로운 일가를 이룬 이탈리아참새과학동아 l2011년 10호
- 하지만 유전학적으로 입증된 적은 없었다.연구팀은 이탈리아참새의 혈액 샘플에서 DNA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이탈리아참새가 스페인참새와 집참새의 혼종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같은 지역에 사는 이탈리아참새와 스페인참새가 서로 교미하지 않는 것을 관찰했다. 두 종은 겉모습도 다르며, ... ...
- 줄기세포 만드는 스위치 찾았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이 과정을 ‘얼터너티브 스플라이싱’이라고 한다.FOXP1에서 나온 단백질 중 하나는 다시 DNA에 붙어 분화능력을 유도하는 유전자인 OCT4, NANOG 등을 단백질로 발현시킨다. 이렇게 분화능력을 얻은 세포는 줄기세포가 된다. 그러나 다른 종류의 단백질은 구조가 달라 이런 일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일반 ... ...
- Part1. 동물 1만 종 게놈 해독한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보통 동물보다 게놈이 복잡하기 때문에 DNA대신 mRNA를 해독해 게놈을 밝혀내기로 했대요. DNA에 담긴 정보가 mRNA로 전달되는 건 아시죠? mRNA만 분석하면 실제로 단백질을 만드는 게놈, 즉 생명 기능이 들어 있는 게놈만 알아낼 수 있어요. 이제 최대한 많이 게놈을 모으려는 경쟁이 시작됐습니다. 게놈이 ... ...
- DNA벽돌로 나노 만리장성 만든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염기쌍을 이뤄 이중가닥을 형성하는 구조에만 관심을 뒀다”며 “그러나 우리는 DNA 오리가미의 상보적인 형태가 상호작용하며 더 큰 구조물을 만들 수 있음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앞으로 다양한 나노구조물을 만들 때 응용될 전망이다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