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장"(으)로 총 2,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전자기업에서 6주간 인턴으로 일하게 된다. 산업 현장에서 실제로 어떤 연구를 진행하며, 현장이 요구하는 역량이 무엇인지 경험하면서 자신의 진로 설계에 도움을 받을 있다. 대학원생의 경우 자신의 연구 분야에 따라 방학 기간 중 글로벌 기업에서 인턴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도 주어진다. ... ...
- 내 꿈에 꼭 맞는 새로운 수학교육이 온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국어, 수학, 영어에 집중되는 현상도 완화했지요. 또, 다른 나라의 교육과정과 학교 현장의 의견에 따라 각 단원의 내용을 이동, 삭제, 통합해 난이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맞추기도 했어요. 달라진 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 이번 교육과정에서는 수학을 재밌게 배울 수 있도록 활동과 탐구 중심으로 ... ...
- Part 5. 평창 동계 올림픽, 로봇 올림픽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청소로봇이 이미 공항을 깨끗이 치우며 선수단을 맞을 준비를 하고 있답니다. 올림픽 현장에서는 더 많은 로봇들을 만나볼 수 있어요. 안내로봇 31대가 경기장을 비롯한 곳곳에 배치돼 길을 안내하고 경기 일정을 알려줄 예정이거든요.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총 8개 국어를 이용해 사람과 대화를 나눌 ... ...
- Part 4. 날씨를 정확하게 파악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올림픽에서는 기상 연구 프로젝트 ‘프로스트 2014’가 진행됐고, 올해 평창 동계 올림픽 현장에서는 ‘아이스팝 2018’이 열릴 예정이에요.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날씨 예측이 특히 어려운 강원도 지역의 특성에 맞는 수치예보모델을 개발하는 게 목표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 ...
- [공지] 지구사랑탐사대,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모를 잡고 노래하는 모습, 매미가 알을 낳는 장면을 처음 봤을 때 정말 짜릿했어요. 현장교육에서 생태 연구자를 만나고, 연구 활동을 가까이에서 보는 것도 특별한 경험이었지요. 생물 탐사를 좋아하는 대원들과 관심사를 나누는 것도, 매해 탐사 목표를 세워 성취하는 과정도 모두 즐거웠어요. ... ...
- [시사과학 뉴스] 긴급 제천 화재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산소가 공급되면 불이 폭발적으로 분출하지요. 이를 백드래프트 현상이라고 해요. 화재 현장에서 공기가 내부로 빨려 들어가는 듯한 소리가 들리거나 연기가 건물 내부에서 소용돌이치는 모습을 보면 백드래프트 현상이 일어날지 예측할 수 있어요. 하지만 긴박한 상황에서는 이런 징후를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황금 강아지를 닮은 금강아지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2018년은 무술년 ‘황금 개띠’의 해예요. 무술년의 ‘무(戊)’가 황금색을, ‘술(戌)’이 개띠를 나타내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겨울 들판에도 황금 강아지를 닮은 식물이 있답니다. 그 주인공은 바로 금강아지풀이에요. 농촌의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강아지풀과 비슷 하지만, 꽃차례에 송송 나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결과 아가로스 젤의 농도가 각기 다른 여러 개의 젤 층이 저절로 만들어졌다. 이는 산업현장에서 연성소재로 층을 만들거나, 역으로 층 생김을 방지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위스키] 코팅 기술에 쓰이는 마랑고니 효과 기계공학자의 눈에는 위스키도 특별하다. 위스키가 마른 자국은 일반 음료의 ... ...
- Intro. 갑작스런 화재 ‘골든타임’ 지키는 건설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있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 영하 13도의 강추위에도 터널 화재연기 실험 현장은 후끈했다. 연기의 위력은 실제로 보니 더 대단했다. 차에 불이 붙은 지 1분이 채 되지 않았는데, 밀폐된 터널 안이 삽시간에 검은 연기로 가득 찼다. 심지어 터널 밖에서 지켜보는 기자와 연구진 쪽으로도 ... ...
- [아파트] 외벽타고 상승하는 불, 불연성 외장재가 해답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틈으로도 올라간다. 실제로 2011년 경기도 성남시 분당동의 빌라 화재 당시 사망자는 화재 현장의 위층에서 발생했다. 사망 원인은 질식사였다. 따라서 화재 시 건물 외부로 즉시 피난하기 어렵다면 아랫집 혹은 옆집으로 대피해야 한다. 1992년 이후 시공 된 3층 이상의 공동주택에는 옆집으로 통하는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