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윤택
충만
다량
다수
풍요
부유
거액
d라이브러리
"
풍부
"(으)로 총 1,96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라진 귀신고래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8호
자주 볼 수 있었어요. 조개가 많은 섬과 소금을 만드는 염전이 있어서 귀신고래의 먹이가
풍부
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지금 우리나라에서 귀신고래는 멸종위기에 처해 있어요. 사람들이 무분별하게 고래를 많이 잡은데다 귀신고래가 번식을 잘하지 않는 특성 때문에 더욱 보기 힘들어졌죠.김국현 ... ...
특명 사라진 가을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셈이랍니다.그런데 바다에는 늘 철분이 부족해요. 그래서 만약 고래의 똥처럼 철분이
풍부
한 물질이바다에 계속 공급된다면 온난화를 막을 수 있다는 것이 과학자들의 생각이랍니다.GPS 장착한 제비가 온난화 영향을 밝힌다!우리나라에서 솔개, 가마우지 같은 겨울 철새들이 사라지고 있는 것처럼, ... ...
변신의 달인. 비타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2년에도 231명의 죄수들을 대상 으로 실험을 해서, 당분 위주의 식사를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
한 식사로 바꾸면 교도소 규정을 함부로 어기는 일이 26%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를 ‘영국정신의학저널’에 발표한 적이 있어.게쉬 박사의 새 실험이 끝나면, 비타민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잘 ... ...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좋아하는 먹이와 습기가 많으면 곰팡이는 아주 크게 자랄 수 있어. 실제로 영양이
풍부
한 1만㎡에는 보통 곰팡이가 2700㎏이나 들어 있어. 놀랍지? 우리 곰팡이들을 작다고 미생물이라고 부르지만, 사실 넓게 퍼져 사는 거대한 생물이란다. 곰팡이는 식물?과학자들이 곰팡이를 처음 연구하기 ... ...
해양 생물의 낙원 츄라우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현에 있어요. 일본에서 유일하게 아열대 해양기후에 속하는 오키나와는 산호초가
풍부
해서 ‘해양생물의 낙원’으로 불린답니다. 이 곳에서 1975년에 국제해양엑스포가 열렸는데, 이를 기념하여 해양엑스포공원을 만들고 수족관도 세웠죠. 츄라우미 수족관에는 매년 300만 명이나 다녀간다니 정말 ... ...
분자에 숨어 있는 수학 법칙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많이 포함돼 있다. 팔미톨레산은 탄소 16개로 이뤄져 있다. 등푸른 생선에
풍부
한 머리를 좋게 하는 영양성분 ‘DHA’는 탄소 22개로 이뤄진 분자다. 이들 지방산 분자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이번에는 분자를 이루는 탄소의 개수가 2를 공약수로 갖는다. 세포 안에서 지방산을만들 때 탄소 2개로 이뤄진 ... ...
남태평양 리얼 야생 체험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바다에서는 많은 바다생물이 살아간다. 축이 열대생물의 보물창고라 불리우는 이유는
풍부
한 플랑크톤 때문이다. 센터에서는 식물 플랑크톤과 같은 미세조류를 배양해 바이오디젤을 개발하고 있다. 존재조차 몰랐던 플랑크톤이 그런 기능을 할 수 있다니 놀랍다.무인도 생생 체험에 나서다축에서의 ... ...
전기 만드는 벌집 구조 창문 생길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11월 1일자에 발표했다.이 물질은 전기가 흐르는 플라스틱인 반도체 폴리머와 탄소가
풍부
한 풀러렌을 결합한 것. 폴리머는 광자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뿐 아니라 값이 싸서 태양전지를 만들려는 과학자들이 탐내온 재료다. 연구팀은 두 물질의 특성을 고루 살린 물질을 만들기 위해 벌집 구조를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아래에는 사람들이 일찍부터 마을을 이루고 살았다. 흐르던 물줄기도 메워졌다. 물이
풍부
한 산입구에 살던 저지대 생물은 어딘가 다른 지역을 찾아 떠날 수밖에 없었다.생물다양성은 크게 종 다양성, 유전적 다양성, 생태계 다양성으로 나뉜다. 가장 기본은 생태계 다양성이다. 다양한 생태계가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아님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많이 나와 있다. 즉 거의 모든 경혈자리는 감각 신경뉴런이
풍부
하게 분포돼 있고 동물에서도 사람의 경혈 자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침을 놓아야 효과가 더 높다.침구경락연구센터 류연희 박사는 “보통 경혈자리는 전기전도도가 낮은 것 같은 물리적 특성이 있지만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