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념
세계관
형이상학
인생관
수사학
d라이브러리
"
철학
"(으)로 총 1,313건 검색되었습니다.
01. 다시 태어나도 이공계 가겠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옵니다.2. 미래는 과학이 바꿉니다.3. 글로벌한 사람이 되세요.4. 과학에만 매달리지 말고
철학
과 예술에도 많은 시간을 할애해 상상력을 키우세요.5. 어린이 같은 질문이 가장 훌륭한 질문입니다. 호기심을 잃지 마세요.6. 호기심을 따라 점점 들어가면 사회도 세상도 우주도 보이고, 우리의 삶도 알게 ... ...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했다가 한 여학생으로부터 수모를 당했던 이야기, 그리고 한국인 최초로 독일에서
철학
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김중세 씨의 소개로 그해 2월 독일 과학아카데미에 참석해 아인슈타인을 만났던 이야기 등을 전했다. 동아일보가 이처럼 아인슈타인에 대해 크게 보도한 것은 그에 대한 관심이 일본 ... ...
공학에 한번 빠져 봅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산업이며 공학자야말로 가장 존경받는 인물이 될 수 있다. 세계를 움직이는 것은
철학
자나 정치가가 아니라 바로 공학자기 때문이다.청소년들에게 공학에 대한 꿈과 비판적 안목을 심어주기 위해 서울대 공대와 과학동아가 2004년부터 함께 펼치고 있는 ‘비사이언티스트’ 프로젝트가 책으로 엮여 ... ...
과학교사는 전문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종이가 자석에 붙고 유리는 자석에 밀린다는 사실, 모르셨죠?”전남대 박종원(45) 교수는 이렇게 물으며 자석을 꺼냈다. 동그랗게 만 종이에 ... 인지 과정을 알아야 지도 계획을 세울 수 있어요. 과학교육은 심리학, 과학사, 과학
철학
등 많은 학문이 관여하는 일종의 ‘종합과학’입니다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대학의 조교수로 채용되고 09년에는 토리노에 가까운 베르첼리의 왕립 전문학교의 실증
철학
교수가 되었다 20년에는 토리노 대학에 신설된 수리물리학(數理物理學) 강좌의 교수가 되고 중도에 정치적 이유로 강좌가 폐쇄된 10년 동안(1822년 말부터)과 수학자 A L 코시가 교수가 된 2년 (1830~33)을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당시 유명한
철학
자였던 토마스 홉스는 실험과학이 자연에 쓸모없는 것은 없다는
철학
의 제 1원리를 위배할 수 없다고 믿었기 때문에 빈 공간이라는 것은 존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보일이 진공을 만들 때 공기를 빼내는 과정에서 미세한 공기가 그 속으로 빠르게 빨려들어간다고 설명했다.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먼저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사용한 사람은 프랑스의 데카르트. 그는 1644년 출판한 ‘
철학
의 원리’에서 우주와 행성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유사한 모양을 그렸다. 20세기 초에는 물리학에서만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 ‘작용 범위’ ‘뷔그너-자이츠 영역’ 등 여러 개의 다른 ... ...
철학
잘 해야 행복한 과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학생들이 나중에라도 다시 책을 읽고 “아, 그랬구나”하고 깨닫기를 기대한단다.“과학
철학
은 정말 재미있는 학문입니다. 과학의 토대 위에서 인문학적 상상력을 맘껏 발휘해 보세요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주변 환경은 어떤지 어떻게 알까? 이 같은 의식에 대한 물음은 수십세기에 걸쳐
철학
자들의 주요 관심거리였다. 그러나 최근 신경과학자들에게도 점점 중요한, 그리고 해결 가능한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데카르트의 말은 신경과학적 입장에서 “나는 뇌가 있다. ... ...
의자로 본 디자인 변천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디자인의 혁신도 뒤따랐다”며 “의자 디자인에 당시 사회의 통념 뿐 아니라 디자이너의
철학
이 공존함은 물론이다”라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한가람디자인미술관에서 열린 ‘갖고 싶은 의자’전에 출품된 작품들 가운데 일부를 소개한다. No.141859년, 너도밤나무오스트리아 태생의 미하엘 토넷은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