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줄기
"(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백두대간 종단열차를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2호
'산출기 지도'를 만들었다. 이 지도는 위성 영상을 통해 고도와 산 기울기를 계산해 산
줄기
를 추출한 것으로, 큰 강과 작은 강의 유역을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 한눈에 보는 백두대간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종단열차를 타고 달린 1400㎞, 어땠나요? 한반도의 중심을 이루는 지형이자 야생 생물의 ... ...
으악! 내가 주워온 아이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8호
속의 적혈구를 대체하는 물질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어요. 최근에는
줄기
세포를 이용해 적혈구를 만들어 내는 연구가 성과를 거두기도했지요.”하지만 당돌한 군은 여전히 서운한 눈치다.“하지만 인공혈액이 널리 쓰이기까지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아요. 그 때까지는 우리가 ... ...
자연의 오선지 위에 그린 초록 교향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하고 여러 가지 관악기나 타악기가 생각나기도 해요. 어린 양치식물은 이렇게 여린
줄기
가 가늘게 돌돌 말린 모양을 하고 땅 위로 고개를 든답니다. 그런 다음 잎을 활짝 펼치는 거지요. 2악장 다채롭게Capriccio전 세계에 있는 양치식물은 1만 종이 넘어요. 우리나라에도 350종이 넘게 살고 있고요. ... ...
우주인과 함께한 식물생장 비교실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사실을 알 수 있어요. 우주에서는 싹이 튼 종자의 개수도 적고 싹이 튼 콩과 무도
줄기
의 길이가 짧았어요. 이 실험을 담당한 원자력연구소의 강시용 박사님은“식물이 우주정거장 안에서 햇빛을 충분히 받지 못했고 온도도 지상보다 낮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고 밝혔어요. 이번 실험으로 무중력 ... ...
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있어 계절을 짐작하기 어려운 환상적인 풍경이 펼쳐져 있다.3 덩굴식물이 신갈나무
줄기
위에 뿌리를 내린 모습이 탐욕스럽다.4 모암이 현무암인 오름은 토양층 두께가 얇아 나무뿌리가 깊이 내리지 못한다. 산을 오르다 보면 강풍으로 뿌리째 뽑힌 나무가 군데군데 눈에 띈다.5 제주도에 흔한 ... ...
올버스 패러독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해결하는 논제를 풀어보자. ※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제시문_가 은하수의 빛
줄기
에서 조금만 빗겨나도 밤하늘이 칠흑같이 어두워진다. 공기의 존재를 의식하지 못한 채 자유로이 숨을 쉬듯 우리는 밤의 어두움에 너무 익숙해 밤하늘이 어둡다는 사실 자체를 잊고 산다. 누가 밤하늘이 ... ...
삑~! 자연재해 경보 발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아닌 자연 현상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하지만 오히려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는
줄기
는커녕 늘어나고만 있는 것 같다. 방송이나 인터넷에는 항상 자연재해로 신음하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들려온다. 도대체 자연재해를 미리 알고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걸까? 지구가 뿔났다!대형 ... ...
천상의 소리 대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백미’로 꼽힌다”고 말했다.애절한 소리의 비밀은 바로 ‘청’에 있다. 청은 갈대
줄기
속에서 뽑아낸 얇은 막이다. 이 막을 팽팽하게 당겨 청공에 붙인 다음 입김을 강하게 불어 넣으면 청이 떨리며 갈라지는 듯한 소리를 낸다. 청은 음력 5월 단오를 기준으로 1주일 정도 채취한다. 이때 갈대 ... ...
디지털이 연출한 예술 혁명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설치, 2007, 리 후이출생과 죽음을 동시에 상징하는 침대를 소재로 해 붉은 레이저 빛
줄기
(죽음)와 침대에서 피어오르는 연무(출생)를 대비해 환생을 이미지화했다.2 어디에도 없는 네온 설치, 2007, 카를로스 코로나스아름다운 네온빛이 공간을 캠퍼스로 그림을 그린 듯한 효과를 준다. 도달할 수 없는 ... ...
엑스파일 나는 믿고 싶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배아
줄기
세포를 원하는 대로 배양하려는 연구가 국내외에서 시도되고 있다. 다만 배아
줄기
세포는 그 자체를 인간 생명으로 볼 수도 있어 윤리적 문제가 남아 있다. 강석훈 전문의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뒤 2006년부터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꿈이었던 영화와 드라마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