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장"(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상태가 아니라 수처럼 크기를 비교할 수 있는 대상, ‘실무한’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하지만 가무한에 대한 믿음이 강력했기 때문에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기원전 6세기 알렉산드리아의 철학자 필로포노스는 태어나는 아기의 수와 자라나는 머리카락의 수를 관찰한 뒤 각각이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얘기다. 그는 역사를 거시적으로 보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수 차례 강조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빅 히스토리는 두 가지 상반된 관점을 제시한다. 우선 인간은 수십 억 개의 은하 중 하나에, 보통의 별을 도는 아주 작은 행성에 최근에서야 나타났다. 따라서 우주 관점에서 보면 인간은 그리 ... ...
- [Issue] 유전자 가위 둘러싼 세기의 ‘특허 전쟁’ 2라운드 돌입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말했다. 김 연구소장도 “UC버클리가 이번에 제출한 변론 취지서의 내용은 이전에 주장했던 내용으로, 심판위원회가 이미 검토한 내용”이라며 “2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사실 특허 전쟁 2라운드의 이목은 UC버클리의 승소 여부 보다는 툴젠 등 다른 기관에 ... ...
- [Photo] 천연 내비게이션, 자철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반응해 길을 찾아간다는 것이다. 인간의 뇌에서 자철석이 장기기억 체계에 관여한다는 주장도 있다. 스페인 루이스 알케니스병원 연구팀은 뇌에 있는 미세한 자철석이 뇌세포가 만들어 낸 자기 신호를 감지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하면서 장기 기억 형성에 관여한다고 발표했다. 이 내용은 독창적인 ... ...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축구공 모양이라 생각했다. 또, 어떤 사람은 정십이면체 모양이 타당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과연 우주가 어떤 모양인지 알아낼 수 있을까?우주의 모양을 관찰하려면 우주 밖으로 나가 우주를 관찰해야 한다. 지구 밖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본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이는 불가능하다. 홍성욱 ... ...
- 날아가던 새가 야구공에 맞을 확률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날아와 애슐리 영 선수 입으로 떨어지는 게 아닌가! 이후 영 선수는 새똥이 아니라 주장했지만, 누가 봐도 그건 새똥이었다. 그리고 3년 뒤 이 사건을 대대적으로 다룬 사람들이 나타난다. 축구와 관련된 영상을 만들어 소아함 환자를 돕는 ‘슛포러브’다. 이들의 설명은 꽤 정교하고 수학적이었다 ... ...
- 네 감정을 맞혀볼까? 취조실에 나타난 표정분석기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에크만은 표정이 세계적으로 보편적이며 문화권에 따라 다르지 않다는 찰스 다윈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실험을 했습니다. 사람들에게 표정 사진을 보여주고 어떤 감정인지 맞히게 하거나, 특정 감정을 일으키는 이야기를 접하게 한 뒤 어떤 표정을 짓는지 관찰했습니다. 주요 문화권에 사는 사람뿐 ... ...
- [Future] 한국 온 지 9개월, ‘닥터 왓슨’ 뭐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대부분 서양 사례인 만큼 한국인에게 적합한 ‘한국형 AI 의사’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국내 환자의 데이터가 미국 업체의 AI에 축적되는 일을 꺼리는 전문가들도 있다. 국내 일부 병원은 자신들이 갖고 있는 환자치료 데이터를 이용해 자체적으로 AI를 개발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 ...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그 돌연변이 전략은 ESS를 몰아내고 널리 퍼질 수도 있다. 참고로 ESS는 해밀턴이 주장한 ‘무적의 전략’보다 더 넓은 개념이다. 무적의 전략이 이미 개체군을 장악하고 있다면, 그 어떤 돌연변이 전략도 ‘최초의 빈도가 무엇이건 간에’ 그 개체군을 침입할 수 없다. 즉, 무적의 전략은 다른 어떤 ... ...
- [Career] 생체시계와 치매 그 관계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붙였다. 그는 “당시 학계에서는 생체시계가 DNA에서 RNA로 전사되는 과정에만 관여한다는 주장이 우세했다”며 “트웬티포 유전자 연구를 통해 생체시계가 RNA에서 단백질로 번역되는 과정에도 관여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냈다”고 말했다. 그는 이 내용을 2011년 ‘네이처’에 발표했다. 현재 임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