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크래프트] 크리스마스 트리에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 떠오른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인생 6년차 퓨처킴. 하지만 마인크래프트(이하 마크)는 처음이다. 회사에서 게임하는 게
조금
눈치 보이지만 마크 초고수가 되는 그날까지, 나는 달린다! 알록달록 예쁜 거대 트리가 완성됐어요. 크리스마스 트리는 주로 침엽수를 사용해 만들어 멀리서 보면 세모 모양이죠. 갑자기 재밌는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IT) 기업에 소속된 사람을 떠올리기 쉽다. 에너지 연구기관인 한국원자력연구원과는
조금
거리가 있어 보인다. 실제로 그가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도 ‘도대체 원자력 연구기관에서 어떤 AI를 연구하는가’다. 기자도 같은 질문을 해버리고 말았다. 그러자 “AI 연구는 분야가 중요하지 않다. ... ...
욕은 왜 하는 걸까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처리하는 뇌 부위가 서로 다르다는 점을 시사한다.투렛 증후군 환자들의 사례에서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투렛 증후군은 스스로 조절하기 힘든 무의식적 반복 행동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투렛 증후군 환자 중 10%는 욕을 불쑥불쑥 내뱉는 강박적 외설증을 앓고 있다 ...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 이슈 TOP 5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때 이것이 1년 넘게 지속될 것이라 예측한 사람은 많지 않았다. 그래도 다행히 그 끝이
조금
씩 보이기 시작했다. 미국 제약사인 모더나가 개발 중인 백신이 94.5%의 예방 효과를 보였다는 임상 3상 중간결과가 11월 16일(현지 시각) 발표된 것이다. 이어 11월 18일(현지 시각)에는 미국 제약사인 화이자와 ... ...
[일본유학일기] 시험공부 도와주는 도쿄대의 비밀 무기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내용이 쌓이며 지식이 되고, 그 과정이 공부”라고 말씀하셨다. 이 말을 떠올리면 마음이
조금
편해진다. 그래도 하기 싫은 마음은 쉽게 가시질 않는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도 어김없이 기말고사의 압박이 턱밑까지 다가오고 있다. 나는 최근 진행 중인 연구가 있어서 빨리 시험 기간이 지나가고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볼 수 있습니다.” 연구원들은 모니터 중앙에 띄워진 그래프를 주시했다. 그래프 수치가
조금
씩 증가할 때마다 연구원들의 얼굴에는 긴장감이 드러났다. “지금이 가장 긴장되는 순간입니다. 앞서 꺼뒀던 플라스마를 켜는 중인데, 이때가 장치에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가장 크기 때문이죠.” 김 ... ...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염색체 끝부분을 완전히 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 이는 매 세포 분열마다 DNA가
조금
씩 사라질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텔로미어는 단백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세포 분열 과정에서 중요한 DNA를 대신해 닳아 없어지는 역할을 맡는다. 이로 인해 텔로미어의 길이는 세포가 ... ...
[독일유학일기] 기말고사에 달린 학점 족보는 필수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읽어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제 글이 해외 유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조금
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유학일기를 연재한 1년은 저에게도 굉장히 값진 시간이었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또 과학동아에서 만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해외 생활, 어려워 보여도 막상 또 해 보면 별거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뇌를 속이는 착시 현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색을 구분할 수 있지요. 그런데 검정색과 흰색이 교차로 나타나는 자극이 세 수용기를
조금
씩 다르게 흥분시켰고, 이로 인해 전혀 다른 색을 본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킨 거예요. '이 현상은 1838년 독일의 물리학자이자 철학자인 페히너에 의해 최초로 발견됐어요. 이후 영국의 과학자 벤함이 팽이를 ... ...
[과동 키즈] 과학과 소설 두 세계를 가로지르는 일 '김초엽 SF작가'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과학책 서평 연재를 의뢰받은 것이다. 또 단편을 써달라는 의뢰와 소규모 강연 제안도
조금
씩 들어왔다. 최선을 다해서 한 건을 무사히 마무리하면 그 글을 읽은 다른 곳에서 제안이 들어왔다. 일이 없는 시기에는 공부를 했다. SF는 과학과 느슨하게 관련이 있지만 내가 잘 알지 못하는 새로운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