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시"(으)로 총 3,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초신성의 새로운 폭발 원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과학자가 우주 팽창 연구에 사용되는 제1a형 초신성의 새로운 폭발 원리를 제시했다.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은 백색왜성과 보통 별의 상호작용에 의해 폭발한 제1a형 초신성을 세계 최초로 관측해 ‘천체물리학저널증보’ 2015년 11월 20일자에 발표했다.제1a형 초신성은 쌍으로 이뤄진 별 ... ...
- 미끌미끌~! 초보 산타의 빙판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녹여서 미끄러운 액체 층을 만든다는 학설도 있어요. 1939년 영국의 보든과 휴즈가 처음 제시했지요. 실제로 영국 케임브리지대 바우덴 교수팀이 스키가 1cm 움직일 때 발생하는 열을 계산한 결과, 아주 얇은 마이크로미터(㎛, 1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두께의 물 층이 만들어졌답니다.하지만 그냥 ... ...
- 가장 번성한 동물 사회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1971년 미국의 진화생물학자 로버트 트리버스 교수가 ‘호혜 이타주의’를 이용해 처음 제시했어요. 호혜 이타주의란 간단히 말하면 ‘네가 도와 주면 나도 도와 준다’는 이론이에요. 한 예로 우리나라에서는 마을 단위로 농사일과 집안일을 서로 돕는 교환노동이 발달했어요. 이것을 ‘품앗이’라 ... ...
- 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헵의 법칙(hebbian rule)’이다. 헵의 법칙은 1949년 캐나다 심리학자인 도날드 헵이 제시한 것으로, 정보의 인과 관계를 판단하는 학습법이다. 뉴런은 전기신호로 정보를 전달하는데, 두 뉴런 사이에 신호 전달이 빠를수록 연관이 높은 뉴런이라고 판단해 시냅스의 연결을 강화시킨다. 뉴로모픽 역시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각 부서에서 책임급 직원을 동원할 수 있습니다.”구 교수에게 심층인터뷰 사례를 제시하며, 옴부즈퍼슨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지 문의했다. 구 교수는 “실제 비슷한 일이 학내에서 있었다”고 했다. “교수가 부당하게 논문에서 제자의 이름을 뺀 사례가 있었습니다. 피해학생의 동의를 얻어 ... ...
- Intro. 디지털 시대의 종말, 5세대 컴퓨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방식의 컴퓨터였다. 그리고 70년이 흐른 현재, 5세대 컴퓨터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디지털 대신 연속적인 아날로그를, 동시에 엄청난 양의 연산을 처리하는 초병렬방식의 컴퓨터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구현한다. 그런데 과연 우리는 새 패러다임을 맞을 준비가 되어 있을까.▼관련기사를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OECD 국가 중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된 멕시코가 2030년까지 BAU대비 25%(조건부 40%) 감축을 제시한 것과 비교했을 때 다소 높은 목표다. 속을 들여다보면 더욱 의구심을 갖게 된다. 정부합동 기후변화대응팀은 지난 6월 14.7%(1안), 19.2%(2안), 25.7%(3안), 31.3%(4안)를 감축하는 총 4가지 시나리오를 마련했다. ...
- [Life & Tech] 우리 결혼할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표정을 먼저 알아차렸네요. ‘걸어 다니는 소년 설명서’인 소녀는, 단박에 절충안을 제시합니다. “그럼 내 거에만 탄생석을 넣자. 자기 거는 황화칼륨(K₂S)에 담가서 착색시키는 거 어때?” 황화칼륨은 흔히 유화가리라고 불리는 물질로, 은제품을 검게 변색시키는 데 씁니다. 은(Ag)이 황화칼륨 속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용해 이를 한 번에 연산할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122쪽 그림 참조). 그가 제시한 방법에 따르면 사람이 하는 일은 각 도시, 비행편에 해당하는 염기서열을 정해주고 제 시간에 DNA 분해 효소를 넣어주는 것뿐이다. 기존의 컴퓨터에서는 NP에 속하는 문제지만, DNA컴퓨터에서는 P문제다. 더구나 ... ...
- 수학자 열전 한국 근대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전체를 다 칠할 수 있는지 묻는 문제예요. 1952년 영국의 수학자 프랜시스 구드리가 처음 제시했죠. 저 말고도 영국의 수학자드 모르간부터 독일의 수학자 다비드 힐베르트까지 수많은 수학자들이 증명을 시도했어요. 1960년 당시 저는 진짜 이 문제를 풀었다고 믿었어요. 안타깝게도 오류가 발견돼서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